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발
하느님
신령
귀신
최고의 신
주신
신아일보
뉴스
"
신
"(으)로 총 1,434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랑이 줄무늬, 얼룩말 무늬…동물 무늬 수학으로 나타낼 수 있나
2015.12.28
다양한 가설이 나온 가운데 미국 연구팀이 여러 가설을 아우르는 수식을 개발했다.
신
메가손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튜링 패턴’이라고 불리는 줄무늬 형성에 관여하는 변수를 밝혀 여러 가설을 아우르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고 ‘셀’의 자매지 ‘셀 시스템스(Cell Systems)’ 23일 자에 ... ...
사물인터넷-자율車 뜨거운 축제
동아일보
l
2015.12.28
있도록 접근성을 강화한 2016년형 스마트TV가 CES 2016에서 최고의 제품으로 꼽혀 ‘최고 혁
신
상’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음질의 선명도를 개선해주는 기능으로 청력이 약한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줄였고 기존 제품보다 명암비를 두 배 이상 높여 시각장애인들을 배려했다. 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 ... ...
동양인이 서양인 보다 술이 약한 이유는?
2015.12.27
연구한다는 말은 우리 세계의 본질을 탐구한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말이다. ‘
신
이 숨겨놓은 입자’라 불리는 ‘힉스’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며 질량의 기원이 밝혀진 것처럼, 소립자에 대한 연구는 아직 풀리지 못한 우주탄생의 비밀을 해결하는 열쇠가 된다. 새 ... ...
‘555m’ 한국 최고의 꿈 우뚝 서다
동아일보
l
2015.12.23
물론이고 세계인의 시선을 끌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가 암사동 구석기·
신
석기 유적과 풍납토성 중심의 백제 고분군을 묶어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데, 롯데월드타워까지 완공되면 서울 동남권 전체가 관광 중심지로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인철 서울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9시까지 끝내고 실험실로 출근했다고 한다. 그에게 일주일에 60시간을 일하지 못하는
신
경과학자는 ‘파트타임근무자’였다고 한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전남 드론 - 강원 헬스케어… 14개 시도에 ‘규제 프리존’
동아일보
l
2015.12.17
도쿄권이 포함됐지만 한국에서는 수도권이 제외됐다. 또 경기 동북부에 공장
신
·증설을 허용하면서 ‘수도권 공장총량제(매년 공장건축 면적을 총량으로 설정해 건축을 제한하는 제도)’ 등 수도권 규제의 근간은 건드리지 않아 한계가 있다는 것도 문제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부동산학)는 ... ...
공학-의약 전공자 아니면 대학 나와도 취업 ‘바늘구멍’
동아일보
l
2015.12.16
타투이스트(문
신
시술가)도 합법화될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 등에 나설 계획이다. 17개
신
직업의 자세한 내용과 추진 계획은 고용부 홈페이지(www.moe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 ...
스타워즈 ‘에피소드4~6’ 다음 웹툰에서 연재하고 있는 홍작가
동아일보
l
2015.12.16
팀에 운 좋게 채용된 인연으로 여기까지 왔다. 이성강 감독님이 내 무엇을 보고 뽑아주
신
건지, 지금도 궁금하다. ‘머릿속에서 패턴화한 이미지’를 옮기는 한계에서 벗어나 ‘눈으로 보는 그대로의 이미지’를 그리는 방법을 깨닫게 해준, 일생일대의 경험이었다.”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 ...
[
신
나는 공부/에듀칼럼]방학 때 만든 공부습관, 고입 넘어 대입까지 간다
동아일보
l
2015.12.15
암기식 학습에 몰두하는 학생들이 있다. 그러나 이해 없는 암기는 응용 문제나
신
유형의 문제 앞에 무너지기 일쑤다. 하나를 암기하더라도 흐름을 파악하면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면 기억에도 훨씬 오래 남는다. 또 내용 간 연결고리가 생겨 한 가지 ... ...
뇌가 느끼는 좋은 집짓기 ‘
신
경건축학’을 아시나요
2015.12.06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일 열린 2015
신
경건축학연구회 컨퍼런스에 참석한 조성행 마인드브릭 대표(왼쪽)와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오른쪽).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