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스페셜
"
생물
"(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피할 수 있다. 두 논문은 비슷한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독일 뮌스터대 식물
생물
학생명공학연구소 요르그 쿠들라 교수팀과 공동연구자들의 결과를 소개한다(쿠들라 교수가 논문 파일을 보내주면서 글이 실리면 사이트 주소를 꼭 알려달라고 부탁했다!). 연구자들은 작물 토마토(학명 Solanum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가설과 맞는 않는 얘기다. 이런 와중에 페보 박사팀은 2013년 학술지 ‘분자
생물
학 및 진화’에 약간의 반전을 꾀한 논문을 발표했다. 즉 FOXP2 유전자의 8번째 인트론(아미노산으로 번역되지 않는 부분)의 특정 영역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차이를 발견했고 호모 사피언스 사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화제가 됐다), 리버먼 교수는 해부학과 생리학에 기반한 고전적인 인류학자이자 진화
생물
학자다. 그의 연구를 보면 어떤 건 방법이 좀 ‘무식해’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도구를 써 식재료를 가공한 게 인류 진화(턱과 치아, 소화계)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그렇지 않은 쥐보다 기억력 감퇴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학술지 ‘유럽분자
생물
학기구(EMBO) 저널’에 발표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경험한 쥐는 나이가 들수록 뇌에 점점 더 많은 Aβ 단백질이 쌓여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2015년 제임스 로어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증거자료가 충분히 마련돼 있었어요. 많은 분들과 함께 서식지 보호 활동을 하면서
생물
의 서식지를 지켰을 때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어졌답니다.” 정다미 연구원은 어릴 적부터 수리부엉이뿐만 아니라 모든 새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다 대학원에 입학한 뒤로는 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어디서 들어본 거 같은데...’ 이런 생각을 하는 독자가 적지 않을 텐데,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배운 세포호흡의 ‘TCA 회로’(‘구연산 회로’ 또는 ‘크렙스 회로’라고도 부른다)에 나오는 분자 이름이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세포호흡은 미토콘드리아가 영양 분자를 세포가 쓸 수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출현한 움직이는 생명체에서 나타난 첫 번째 감각이었고, 오늘날 가장 원시적인 단세포
생물
이 우리와 함께 공유하는 것은 이 감각뿐이다. - 레이첼 허즈, ‘욕망을 부르는 향기’에서 과학에서 새로운 발견은 보통 해당 분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어떤 발견은 있는지도 몰랐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서 사람의
생물
량(탄소 기준)은 6000만 톤이고 가축 포유류의
생물
량은 1억 톤에 이르는 데 비해 야생 육상 포유류는 수천 종을 다 합쳐도 300만 톤에 불과하다. 새도 가금(주로 닭)이 500만 톤으로 야생 조류 200만 톤의 세 배에 가깝다. 고기에 맛을 들인 인류가 지구를 어떻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진단하기도 하지만 이는 우리가 한동안 잊어버리고 있었던 ‘잡식동물이라는
생물
학적 사실’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폴란에 따르면 “우리의 뛰어난 관찰력과 기억력 그리고 자연 세계에 대한 궁금증과 실험적 자세”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19세기 프랑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존재가 된 수많은 세포가 스스로 사라지는 운명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단세포
생물
이 야생마라면 동물의 세포는 우리에 갇힌 말과 같다. 재갈에 물린 채 묵묵히 사람을 태우고 다니지만 몸에는 그 옛날 들판을 마음껏 뛰어다니던 조상의 피가 흐르고 있다. 어느 날 우연히 우리의 빗장이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