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물"(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위기종의 천국 DMZ, 생태공원으로 거듭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8.06.22
- , 두루미(우) - GIB 제공 반달가슴곰(좌), 흰꼬리수리(우) - GIB 제공 2급 멸종위기 야생생물 잔점박이물범(좌), 담비(우) - GIB 제공 산양(좌), 재두루미(우) - 동아일보 DB, GIB 제공 표범장지뱀(좌), 물장군(우) - 국립생태원 제공 애기뿔소똥구리 - 국립생태원 제공 ● DMZ, 생태공원으로 ... ...
- 공룡인가, 도마뱀인가.... 2억 4000만 년 전 도마뱀동아사이언스 l2018.06.03
- 중생대 지구의 지배자인 공룡은 6600만 년 전 갑자기 멸종했다. 중생대 말에 살았던 생물은 극히 일부만 살아남아 신생대를 거쳐 현생 동물로 진화했다. 도마뱀의 조상 역시 이 시기를 버텨내고 현재의 도마뱀을 남겼다.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오래된 도마뱀 조상은 1억 6800만 년 전 ...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과학동아 l2018.04.29
- 바 있다. 우리 과학자들은 2006년 7월, 2007년 5월 북한에 방문해 평양농업과학원 산하 농업생물학연구소, 북한 밭작물 연구소 고구마육종연구실과 함께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GIB 제공 고구마를 이용한 북한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이 머리를 맞댈 경우 일차적으로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2018.04.28
- 기술을 토대로 협력 한다면 한반도를 넘어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 지역 산림 복구 및 생물다양성 보전 목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과학동아 5월 ...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8.04.26
- 때문이라는 가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2016년 2월 마커스 펠드만 스탠퍼드 생물학과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이 호모 사피엔스와의 ‘문화’ 경쟁해서 패배해 사라졌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여기서 ‘문화’란 소통 능력, 사냥 기술, 환경에 대한 적응력 등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냄새를 맡는 것이다. 화학적 감각, 즉 넓은 의미의 후각은 박테리아를 비롯해 모든 생물이 지닌 원초적인 감각이다. 뇌의 전두엽에 있는 후각을 담당하는 후각망울 역시 구피질(paleocortex)로 불리는 원시적인 뇌 영역이다. 사람의 전두엽 대부분은 훗날 진화한 신피질(neocortex)이지만 속에는 구피질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오해를 받기에 이르러 이들의 식단에서 탄수화물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생물학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글을 쓴 것이다. 인간의 게놈을 보면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잘 소화할 수 있게 유전자가 마련돼 있다. 구석기인들, 즉 수렵채취인들은 거의 매일 수십 킬로미터를 걷거나 뛰는 게 ...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동아사이언스 l2018.03.16
- 그런데 최근 이 같은 상황에 논란의 불씨를 던지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미국 워싱턴대 생물통계학과 샤론 브라우닝 교수팀은 전체 유전자(DNA) 분석비교법을 통해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 등 두 종에서 두 번의 유전적 교차점을 찾아냈다고 15일 (현지시각) 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GIB ...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호킹 박사는 이전부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우려를 표했다. 인류의 발전은 유전적, 생물학적으로 제한돼 있는 반면 인공지능은 무한히 발전할 수 있기에 결국 인류의 멸망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그는 인류에게 유용하고 이로운 혜택을 주는 인공지능만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바이오발효융합학과 이영석 교수팀과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분자세포발생생물학과 크레이그 몬텔 교수팀은 초파리가 고농도 칼슘을 거부하는 행동을 할 때 관여하는 미각수용체뉴런과 칼슘맛 수용체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그냥 설탕물과 다양한 농도로 염화칼슘이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