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스페셜
"
생물
"(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새로 구성해도 결과적으로 같은 성능을 내는 인공생명체를 만들겠단 의미다. 합성
생물
학 분야 전문가인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에 사용한 합성법이 효모 특성에 맞춘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진핵세포에 그대로 사용하긴 어렵다”면서도 “적어도 진핵세포 유전체 합성의 ... ...
장내 미
생물
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있다. 그는 "이러한 연구는 프로바이오틱스가 더이상 단순한 기호식품이 아닌, '미
생물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는 연구"라며 "현재 가시적인 성과를 눈앞에 두고 있다"고 자신감을 피력했다. 그는 "앞으로 면역조절 유산균을 찾아서 면역억제 기능뿐 아니라 면역증강 기능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밝혀진 건 빙산의 일각일뿐 파일 박사는 “최근 트와일라잇 존에 살고 있던 바다
생물
들이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무분별한 어획 활동 등으로 새로운 피난처를 찾아 더 깊은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며 우려 섞인 이야기도 전했습니다. 이어 “아직 우리는 그들의 모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정교한 사회구조를 지니고 있지 않은 말벌들은 이런 얼굴 식별 능력이 없었다. 드 발은 “
생물
학자들은 메커니즘과 기능을 구분해야 한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동물의 세계에서는 같은 목적(기능)을 이루기 위해 다른 수단(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게 아주 흔한 일이라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식충식물 연구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갔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일본 국립기초
생물
학연구소를 비롯한 다국적 연구팀은 호주에 자생하는 식충식물인 세팔로투스(Cephalotus follicularis)의 게놈을 해독해 식충식물 진화의 비밀을 어느 정도 밝혀냈다. 세팔로투스는 네펜시스처럼 포충낭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해초밭이 7%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해초생태계가 파괴되면 병원균이 늘어나 해양
생물
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고기가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는 보금자리인 산호가 파괴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는 것도 사람에게 큰 피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박테리아의
생물
막 형성은 억제하고 유익한 박테리아의
생물
막 형성은 촉진해 장내미
생물
의 조성을 바꾸는 일도 가능함을 시사한다. 해양 박테리아인 비브리오 피셰리는 균체밀도 신호분자를 교환해 밀도가 어느 수준 이상이 됨을 확인하면 빛을 내놓는다. 최근 이 과정에 인공세포를 개입해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연구가 필요하다. 한 교수는 “사코르히투스 화석을 통해 물고기, 그리고 다양한
생물
종을 거쳐 최종적으로 포유류와 우리 인간으로 진화한 과정의 초기 단계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숲을 보는 방법으로 1년에 한 번 교양
생물
학 교재를 통독하라고 권했다. 이렇게
생물
학 전반을 훑어보면 자신의 연구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되고 뜻밖의 통찰을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과학기자가 된 뒤 이 조언을 ‘확대 적용해’ 여러 분야의 학부 교재를 샀다. 시간 날 때 ... ...
시스템
생물
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많이 변하는 분자가 유의미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진화적으로도 미
생물
부터 효모, 예쁜꼬마선충, 초파리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실제 변이(variation)를 보였던 네트워크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네트워크 변이 분석(network variation analysis)'이라 설명했다. 황 부연구단장은 "여러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