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스페셜
"
생물
"(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아니지만 하루 24시간 생활 자체가 갈수록 뒤죽박죽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주
생물
학 연구결과는 자신의 생체시계를 무시하는 인류의 이런 행태가 결국은 스스로를 망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을 먹느냐가 아니라 언제 먹느냐가 문제일수도 있다. 똑 같은 양의 ...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 고양이, 조류독감에서 안전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해야 하나요? 글쎄요. 살처분이 꼭 답은 아닙니다. 살처분의 목적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생물
체를 완전히 없앰으로써 더 이상 바이러스가 퍼지지 못하게 막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 곳에 가두어져 있는 가금류의 경우 살처분이 효과적인 방역 방법이 될 수 있지요. 하지만 언제 어디로 갈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치료법을 찾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단세포 진핵
생물
인 효모를 이런 질환의 모델
생물
로 선택해 연구를 진행했다. 효모를 연구해 어떻게 신경계 질환을 이해할 수 있느냐고 의아해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린드퀴스트는 효모에도 이런 단백질들이 존재하고 변형 단백질이 축적되면 치명적인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떠났다. 196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린스턴에서 물리학자 부부의 딸로 태어난 진은
생물
을 공부하려고 했지만 동물해부를 견디지 못해 프린스턴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공부에 시큰둥하던 진은 방학 때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인턴을 하며 물리학자들이 연구 모습을 지켜보고 물리학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개별 뉴런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게 했다. - 네이처 제공 1960년대 미국 우즈홀해양
생물
연구소의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가 해파리에서 발견한 GFP는 푸른빛이나 자외선을 흡수한 뒤 이보다 에너지가 낮은 녹색빛을 내는, 즉 형광을 내는 단백질이다. 따라서 특정 단백질의 발현 정보를 담은 염기서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태어난 페인은 어린 시절 자연의 품속에서 자랐고 하버드대에 들어가서는 고
생물
학에 심취했다. 화석을 연구하기 위해 미시건대 대학원에 진학한 페인은 그러나 생태학자 프레더릭 스미스의 강의를 듣고 생태학으로 전향해 ‘살아있는’ 화석인 개맛을 연구해 196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2년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저명 석학들이 고규영 혈관연구단장 등 IBS 과학자들과 함께 참여한 IBS-MPI 혈관
생물
학 콘퍼런스도 70여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IBS-RIKEN 희귀동위원소 물리 콘퍼런스에서는 113번 원소 '니호늄' 발견에 한 축을 담당한 RIKEN 니시나가속기연구센터(RNC)의 과학자들이 정순찬 IBS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채집했는데 이게 인연이 돼 한스키는
생물
학에 더 열정을 갖게 됐다. 헬싱키대에서
생물
학을 공부한 뒤 영국으로 유학 가 옥스퍼드대에서 쇠똥구리의 생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헬싱키대에 자리를 잡은 한스키는 수많은 호수와 섬이 있는 핀란드에 딱 적합한 메타개체군 연구에 본격적으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해양 역사를 재구성한 '해리 엘더필드’
2016.12.18
단괴의 형성과정도 밝혔다. 한편 고화학(paleochemisty) 분야에도 손을 뻗쳐 단세포 해양 원생
생물
인 유공충의 껍데기 조성을 분석해 과거 해양의 성분과 온도 변화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도 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해마의 모습이 등장했다. 바다의 용이라 불리는 해마는 독특한 생김새처럼 독특한
생물
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물고기지만 배에 지느러미가 없고, 수컷이 암컷의 알을 수정받아 새끼를 낳는다. 중국 과학원(CAS)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해마의 전체 유전자를 해석해 해마가 이런 특성을 갖게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