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물"(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하는 한편, 열전소자, 태양전지도 연구하고 있다. 또 김대형 연구위원(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최승홍 연구위원(서울대 의대 영상의학과 교수)이 참여하는 그룹에서는 유연 전자소자를 제작해 의료 분야에 응용하고 있는데, 현 단장 그룹에서 합성한 나노물질로 김 연구위원이 유연 전자소자를 ...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10만~6만 년 전으로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주도했던 울런공대학 고생물학자들의 연구로 여기에도 마이크 모우드 교수의 이름이 보인다. 연구자들은 당시 호빗의 뼈가 발굴된 지층을 면밀히 재조사한 결과 토양이 무너져 지층이 뒤섞였다는 걸 발견하고 주위의 보존이 잘 된 ...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신약이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자연계에는 없는 합성화합물이다. 식물이나 미생물에서 얻은 천연분자 대다수는 불안정해 쉽게 파괴되거나 부작용이 커 구조를 살짝 바꿔 이런 문제를 해결한 분자가 약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약물 목록에서 합성화합물을 빼버린다면 인류의 ... ...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2016.06.06
- of Wrath)’는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에서 따왔다. 스타인벡의 소설을 갖고 와 생물학자들을 폄훼한데 대해 스타인벡의 소설로 응수한 것이다(저자가 맛이 갔다고(sour)). ‘생명과학’과 ‘생태학’ 10판(각각 2012년과 2014년 9판이 나왔다)을 만들 때 이번 연구결과를 포함해 다윈의 나방 ...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박 부연구단장이 직접 디자인한 휴게실에서는, 생물학, 물리학, 화학 등을 전공한 연구원들이 자신의 연구문제를 내놓고 다방면의 조언을 들으며 열띤 토론을 하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최근 박 부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진은 주변의 열에너지를 뽑아내 1 ... ...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2016.04.25
- 게놈의 재조정을 통해 젖 생산에 가장 효율적인 상태가 되는 건 아닐까. 18세기 생물학자 칼 폰 린네는 동물을 분류할 때 젖분비를 주요 기준으로 삼아 ‘포유강’을 만들었다. 린네가 이번 연구에 대해 알게 된다면 흐뭇하게 고개를 끄덕일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IBS l2016.04.04
- 연구자다. 분자가 변할 때 시냅스, 신경회로, 행동이 차례로 변화하기 때문에, 분자생물학적 수준의 연구와 상호 보완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 부연구단장은 우리 뇌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 과정이나 기억과 같은 고위 뇌기능이 뇌 질환과 밀접한 ... ...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IBS l2016.03.31
- 등이다. IBS 나노입자 연구단(단장 현택환 서울대 교수) 성영은 그룹리더(서울대 화학생물학부 교수) 연구진은 연료전지의 백금 사용량을 줄이면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합금 촉매에 주목했다. 백금과 전이금속을 원자 단위로 배열해 반응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료전지 구동 시 쉽게 녹아 입자끼리 ... ...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2016.03.21
- 에는 또 다른 측면에서 도구사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논문이 실렸다.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즉 랭엄 교수의 동료다)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랭엄 교수의 ‘요리가설’을 반박하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즉 호모 에렉투스가 식생활에서 요리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50만 년 전보다 훨씬 이전부터 ... ...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2016.03.15
- 운명을 촬영해 이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은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연구소 슈테판 헬 소장이 발명한 장치로 헬 소장에게 2014년 노벨화학상을 안겨줬다.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이란 형광물질을 넣은 관찰대상에 레이저빔을 쏴 형광이 나오게 한 뒤 나노미터 크기의 부피를 제외한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