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물"(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없다는 것. 연구자들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진화생물학의 이론, 즉 암은 ‘다세포 생물이 진화하며 치러야 하는 대가’라는 측면에 주목했다. 즉 세포가 분열(DNA복제)을 하다보면 실수가 생기기 마련이고 실수가 쌓이다보면 암이 생긴다는 것. 이들은 신체조직에 따른 줄기세포의 평생에 걸친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2016.01.09
- 타계했다. 1944년 옥스퍼드에서 태어난 리사 브로노우스키의 아버지는 수학자이자 생물학자, 저술가인 유명인 제이콥 브로노우스키(Jacob Bronowski)로 국내에도 ‘인간 등정의 발자취’ 등 브로노우스키의 책이 여러 권 번역돼 있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케임브리지대에서 수학을 공부한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2016.01.06
- 정점을 찍었다. ‘사이언스’ 10월 30일자에 부고를 쓴 스미스소니언연구소의 고생물학자 더글라스 어윈에 따르면 데이비슨은 유전자 조절 네크워크를 정교한 논리회로라고 믿었고 실제 성게에서 이중부정논리게이트를 발견하고는 무척 기뻐했다고 한다. 즉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널리 알린 연구 성과들 연구성과 중 첫째는 '스마트 인공피부 개발'이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연구진은 사람 피부처럼 늘어나고 온도와 습도까지 느끼는 스마트 인공피부를 선보였다. 온도, 압력, 변형의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초박막 폴리이미드(PI) 박막과 실리콘 단결정 나노리본(SiNR)으로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2016.01.04
- 태어난 마셜은 케임브리지대에서 자연과학을 공부하고 옥스퍼드대에서 세포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 런던 암연구소로 스카웃돼 앨런 홀과 함께 연구하며 발암유전자 N-Ras를 발견했고 그 뒤 이 단백질의 기능과 신호전달경로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했다. 두 사람은 N-Ras 유전자에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2016.01.03
- 세포 운동성 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1993년 런던대에 새로 설립된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LMCB)로 옮긴 뒤 연구소가 자리를 잡는데 큰 역할을 했고 2000년 연구소장이 됐다. 2006년 미국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로 옮긴 뒤에도 LMCB와 관계를 유지하며 양국 연구자들의 교류에 힘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2016.01.02
- 어디에?’ 참조). 1971년 라우프는 동료 스티븐 스탠리와 함께 대학교재 ‘고생물학 원리(Principles of Paleontology)’를 펴냈고(한글판이 나왔지만 절판됐다), 일반인을 위한 교양과학책 ‘네메시스 사건(The Nemesis Affair, 1986)’과 ‘멸종(Extinction, 1991)도 냈다(둘 다 미번역). 이들 책에서 라우프는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2015.12.30
- 별거 아니라고 무시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경제학 뿐 아니라 다른 사회과학, 진화생물학에도 적용되면서 영향력이 커졌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벌이는 게임에서 A, B 두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자. 나와 상대 둘 다 A를 택하면 내 이익이 2다. 내가 A를, 상대가 B를 택하면 내 이익이 0이다. 내가 ... ...
- KIOST 부산 이전은 새로운 재도약의 호기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하는 방오 도료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2001년 방오 도료로 사용된 삼부틸주석(TBT)이 생물의 생식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게 발견되어 이에 대한 사용 금지를 국제적으로 합의하였습니다. 그러면 대체 방오 도료를 개발해야 합니다. 해양 환경에 해로운 현상이 발견되면 즉시 대안을 마련하도록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 수 있음을 보였는데, 이는 훗날 DNA칩을 만드는데 출발점이 됐다. 한편 대장균 같은 원핵생물에서 전사로 만들어지고 있는 전령RNA에 리보솜이 줄줄이 달라붙어 번역, 즉 단백질을 만드는 복합체인 폴리솜(polysome)을 규명했다. 다들 생명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기초연구다. 1979년 결정학자 앤드류 왕과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