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허점투성이인데 뭘 걱정하는 건지…. 응? 거짓말 하는 거 아니냐고? 아 좀 믿으라니까! 기계는 거짓말 못 해! 터미네이터가 정말 우리를 찾아올까? 인간처럼 생각하거나, 인간을 뛰어넘은 인공지능을 ‘강한 인공지능’이라고 불러요. 알파고는 이번 바둑 대결에서 승리하며 뛰어난 전략을 ... ...
- [과학뉴스] 자율주행차량, 고속도로 시험주행 첫 성공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이 자율주행차량으로 실제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5월 26일 밝혔다. 국내 연구팀이 개발한 자율주행차량 중에서는 첫 사례다. 서울대 자율주행차량은 5월 18일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6개 허가 구간 중 경부고속도로 서울요금소를 출발해 신갈분기점을 거쳐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말했다. 손과 발 하나하나의 크기가 1.3m나 돼야 한다는 얘기다.한편, 미국 스탠포드대 기계공학과 생체모방조작연구소의 엘리엇 호크스 박사팀은 이와 전혀 상반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심지어 이 연구팀은 어떤 특별한 한 동물의 발을 모방해 만든 장갑을 끼고 벽을 기어오르는 데 성공했다. 바로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부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이제 6월, 또 하나의 놀라운 흐름을 짚는다. 인간 안에 기계를 심고, 몸의 일부를 인공물로 대체하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다. 이제는 인간이 기계-되기를 실현하고 있고, 이런 상호적인 ‘되기’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어 보인다. 우리는 굉장한 시대에 살고 있다. ... ...
- [과학뉴스] 우리나라 신생아 5.5%가 기형아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00명당 3.7명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기형 종류별로는 순환기계 이상이 1만 명당 180.8명으로 가장 많았고, 비뇨생식기 이상(130.1명), 근골격계 이상(105.7명), 소화기 이상(24.7명), 중추신경계 이상(15.6명)이 뒤를 이었다. 특히 좌우 양 심방 사이의 벽에 구멍이 생기는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경고했다. 백도어의 유무를 감시할 때 보통은 사람이 쓴 소스 코드를 분석하지, 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컴파일러를 확인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또 컴파일러 하나로 여러 소스 코드를 변환하기 때문에, 백도어가 삽입되도록 만들어진 컴파일러가 변환한 모든 프로그램에는 백도어가 숨어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국은 자타공인 로봇과 의료 기술 강국이다. 이 둘을 융합한 인체 플랫폼화 기술을 연구하기 위한 토양은 이미 훌륭하다는 뜻이다. 최근 국내 로봇공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나이 지긋한 노(老)교수는 기술 발달을 지켜보며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말을 기회 있을 때마다 했다. “로봇이 도입되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고 종류마다 감지하는 말초신경의 구조가 각각 다른데요. 통각을 제외한 대부분은 기계적 자극 수용체(mechanoreceptor)라는 구조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그에 반해 통각을 느끼는 통점은 아무것도 씌워 있지 않은 자유신경말단(free nerve ending)이죠. 그런데 최근 들어 이 자유신경말단이 다시 가려움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많이 사용한다. 문제가 간단할 때야 손으로 풀어도 되지만, 변수가 많고 복잡해지면 기계의 힘을 빌려야 한다. 그런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대부분은 전문가용으로 개발돼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레이놀즈수·마하수 같은 매개변수를 수십 개씩 입력해야 작동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매개변수를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