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퐁! 퐁! 퐁! 물수제비 잘 뜨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해군수중전투연구센터의 제스 벨든 박사와 미국 유타 주립대 기계항공우주공학과의 랜디 허드 교수 연구팀은 물수제비를 하기에 가장 알맞은 돌멩이의 모양을 찾는 실험을 했어요. 또 물수제비가 생기는 과정을 관찰해 돌이 어떻게 수면을 튕겨 날아가는지 원리를 밝히고, 물수제비 모양을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경고했다. 백도어의 유무를 감시할 때 보통은 사람이 쓴 소스 코드를 분석하지, 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컴파일러를 확인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또 컴파일러 하나로 여러 소스 코드를 변환하기 때문에, 백도어가 삽입되도록 만들어진 컴파일러가 변환한 모든 프로그램에는 백도어가 숨어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말했다.이처럼 최근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컴퓨터과학, 기계공학 등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동물실험을 뛰어넘어 화학물질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라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동물과 인간 모두를 위한 일이다.과연 인간은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많이 사용한다. 문제가 간단할 때야 손으로 풀어도 되지만, 변수가 많고 복잡해지면 기계의 힘을 빌려야 한다. 그런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대부분은 전문가용으로 개발돼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레이놀즈수·마하수 같은 매개변수를 수십 개씩 입력해야 작동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매개변수를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뇌의 전기신호를 파악했다. 연구팀은 이 전기신호를 손동작과 정확히 짝짓기 위해 기계학습(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고장난 척수 대신 컴퓨터에 뇌 신호를 집약․변환․전달하는 업무를 맡긴 셈이다. 연구팀은 뇌에서 측정한 미세신호를 컴퓨터로 보내 손동작을 일으키는 전기신호로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경훈이가 말하는 게 좋을 것 같다.경훈 아이젬에는 여러 가지 부문이 있다. 합성생물학의 기계적인 부분을 경합하는 하드웨어 부문이 있고, 아트와 디자인 부문도 있다. 길은 소프트웨어 부문에 출품한 작품이다.지원 어떤 소프트웨어인가.경훈 ‘길’은 생물학에서 ‘패스웨이(pathway)’라고 하는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본격적으로 발전하면서 막스플랑크연구소가 생기고 칼 자이스 같은 세계적인 광학기계 회사도 발전했고요. 주민들도 대부분 연구원이나 학생이어서 도시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젊고 자유롭다고 합니다. 광학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이 잘 꾸며져 있다고 하니, 자전거를 타고 연구소와 함께 쓱한번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남다은: (들고 있던 종이를 보며) 우리가 쓰는 일반 종이요?황석연: 네. 캐드(CAD, 건축이나 기계, 전기 분야에서 설계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로 미리 전개도를 제작합니다. 그 다음에 종이접기를 해서 다양한 장기 모양의 틀을 만들죠. 종이 표면을 고분자로 얇게 코팅한 다음 하이드로겔을 입힙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보이지 않는 건물 안, 기계들이 줄을 지어 서 있는 곳.이곳은 바로 ‘반짝~!’ 하는 빛을 만들어내는 빛 공장, 포항 가속기연구소예요. 도대체 어떻게 빛을 만든다는 걸까요? 그리고 이 빛은 어디에 쓰는 걸까요?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기자단 친구들이 나섰어요.함께 포항 ... ...
- [과학뉴스] ‘마당발’ 그래핀, 기름 유출 방제도 거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유출된 기름을 그래핀으로 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용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물에 떠 있는 기름을 99.9%의 정확도로 분리해 낼 수 있는 방제기술을 개발하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29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강철보다 강도가 20배가량 세고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