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중성미자, 빛을 모두 관측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이제 지구상에서 인간이 만든 기계로 별의 내부와 외부를 다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초기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도 빼놓을 수 없다. 빅뱅으로부터 우주가 생겨난 뒤 38만 년까지의 시기는 우주 공간을 가득 채운 양성자, 중성자, 전자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속도가 느려서 딥러닝이 사장될 뻔 했다.준 딥러닝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한 기계 학습의 가장 큰 난관은 우리가 모르는 함수를 찾는 것이다. 간단한 함수를 설계하는 것은 쉽지만, 바둑을 이기는 법 같은 복잡한 함수는 수학적으로 풀기엔 너무 어렵다. 하지만 간단한 방법으로 근사를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달라진다. 염증이 있는 쪽은 발이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용의자의 진료기록이 필요하다.기계공학과 교수 CCTV 속 사람의 보폭을 측정해 달라는 의뢰가 들어왔다. CCTV 화면을 보니 지면에서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사람을 기준으로 30° 정도 기울어진 각도에서 찍힌 듯하다. 보폭을 측정하기 위해선 이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적어 오랫동안 괄시됐던 홀드는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안상준 UNIST 기계및원자력공학부 교수는 원자력이 에너지계의 ‘홀드왕’이 되길 바란다. “먼 미래에 대체에너지가 성공하기 전까지 그 사이를 메워줄 에너지원이 필요한데 그것이 원자력에너지”라고 안 교수는 말한다.환경과 ...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낚을 때, 실제처럼 휘리릭 소리가 나면서 미세한 진동이 느껴지는 겁니다. 키보드 같은 기계적인 버튼은 자판 순서를 외우면 보지 않고도 원하는 것을 누를 수 있습니다.하지만 터치스크린은 어디를 눌러야 할지 일일이 쳐다봐야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사용자가 정확히 터치했다고 확실히 알 수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연소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기 때문이다.캐나다 맥길대 기계공학과 새뮤얼 고로신 교수와 제프리 베르그토르손 교수 공동연구팀은 전세계 금속 연료 연구 그룹 중 선두 주자다. 연구팀은 최근 연구에서, 직접 개발한 금속 연료용 열엔진으로 기존의 화석연료용 엔진과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 제단을 세운 주인은 무얼 염두에 뒀는지 알지도 못하면서, 인류는 오래 전에 퇴역한 기계 몸뚱이 군인에게 그렇게 민감한 임무를 맡겼다.아마도 그 퇴역 군인이 욕망과 감정을 버리고 죽음과 한없이 가까운 고독을 벗삼는 자였기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3000년 동안 열려 있던 등대 건물의 문이 ...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기계를 만들려던 연구가 있었답니다. 바로 뱃속 태아의 모습을 보여주는 초음파 기계에 관한 이야기예요.태아를 찍은 초음파 사진을 보면 몸이 작고 윤곽이 또렷하게 보이지 않아요. 윤곽을 분명하게 잡아주는 알고리즘이 있다면 의사와 임산부 모두에게 더 편리할 거예요.미국 버클리의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989년 개봉한 영화 ‘백 투 더 퓨처2’에 처음 등장했어요. 당시에는 가상의 기계였지만, 이제는 실제로 만들 수 있게 됐어요.호버보드의 원리는 3가지예요. 첫 번째는 ‘전류’를 이용한 방법이에요. 전기가 흐르는 판 위에서 자석을 움직이면 판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전기가 흐르는 ‘맴돌이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옆에 있는 지승훈 교수와 ‘고급물리 실험’을 들었습니다. 당시에 둘이 실험을 하면서 기계를 많이도 망가뜨렸죠. 그래서 실험은 안 되겠단 생각에 이론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_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당시에도 입자물리가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