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d라이브러리
"
기계
"(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짤로그’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모 포털사이트에서 연재하기도 했다. 인터뷰 자리에 함께한 함승철, 김정형 이사는 각각
기계
공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공통적으로 ‘재미있는 모바일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 짤로그를 기획했다.짤을 보는 게 일인 회사에 다니면 얼마나 즐거울까? 박 대표는 짤로그를 운영하면서 전보다 웃는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들리지도 않고 말도 할 수 없었다. 아마, 이 연결된 망가진 나의 뇌 조각에 여러 가지
기계
를 이어 붙인 것이 있어서 그 측정 결과를 그 눈이 큰 연구원 학자와 그 상사들이 구경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렇지만, 나는 그런 것에 연연하지 않고 그냥 혼자 생각만 했다. 어차피 시간 감각은 ... ...
[과학뉴스] 바이러스 질량까지 재는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바이러스의 질량까지 잴 수 있는 초정밀 센서를 개발했다. 김동철, 이정철 서강대
기계
공학과 교수팀은 극도로 작은 물체의 질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1월 2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실리콘 원판인 웨이퍼를 1150℃로 가열할 때 표면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달라진다. 염증이 있는 쪽은 발이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용의자의 진료기록이 필요하다.
기계
공학과 교수 CCTV 속 사람의 보폭을 측정해 달라는 의뢰가 들어왔다. CCTV 화면을 보니 지면에서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사람을 기준으로 30° 정도 기울어진 각도에서 찍힌 듯하다. 보폭을 측정하기 위해선 이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낚을 때, 실제처럼 휘리릭 소리가 나면서 미세한 진동이 느껴지는 겁니다. 키보드 같은
기계
적인 버튼은 자판 순서를 외우면 보지 않고도 원하는 것을 누를 수 있습니다.하지만 터치스크린은 어디를 눌러야 할지 일일이 쳐다봐야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사용자가 정확히 터치했다고 확실히 알 수 ... ...
[Tech & Fun] Inspired by human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앓는 환자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인간이…
기계
에게인공코 : 유해물질 찾아내는 1등 공신 사람의 코에는 특정 냄새만을 매우 민감하게 구별하는 다양한 후각수용체가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은 그래핀 위에 사람의 후각세포에 있는 후각수용체를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기계
를 만들려던 연구가 있었답니다. 바로 뱃속 태아의 모습을 보여주는 초음파
기계
에 관한 이야기예요.태아를 찍은 초음파 사진을 보면 몸이 작고 윤곽이 또렷하게 보이지 않아요. 윤곽을 분명하게 잡아주는 알고리즘이 있다면 의사와 임산부 모두에게 더 편리할 거예요.미국 버클리의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1989년 개봉한 영화 ‘백 투 더 퓨처2’에 처음 등장했어요. 당시에는 가상의
기계
였지만, 이제는 실제로 만들 수 있게 됐어요.호버보드의 원리는 3가지예요. 첫 번째는 ‘전류’를 이용한 방법이에요. 전기가 흐르는 판 위에서 자석을 움직이면 판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전기가 흐르는 ‘맴돌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하고, 낮에 뜨거워졌다 밤에 차가워지는 온도 변화에 의해 쪼개지기도 하지요. 이를 ‘
기계
적 풍화’라고 해요. 또 물속에 녹아 있는 성분들이 암석의 광물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암석을 녹이기도 해요. 이를 ‘화학적 풍화’라고 부른답니다.큰 바위가 부서져 1cm 두께의 흙으로 만들어지기까지 약 20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옆에 있는 지승훈 교수와 ‘고급물리 실험’을 들었습니다. 당시에 둘이 실험을 하면서
기계
를 많이도 망가뜨렸죠. 그래서 실험은 안 되겠단 생각에 이론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_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당시에도 입자물리가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