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세대학교"(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과학동아 l200310
- 인공적인 지능을 갖는 기계가 사람이 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알아서 해결해주고 인간수준의 감성을 보유한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이 정도의 능력은 아니더라도 이미 지능적으로 밥을 지어주는 인공지능 밥솥이나, 빨래의 양이나 더러워진 정도를 스스로 알아내 효과적으로 빨아주는 퍼지 세탁 ...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09
- 우수 박사학위 논문상)1990년-1993년 미국 NASA 우주망원경 연구소 연구과학자1993년-현재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1997년-현재 연세대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 단장2002년 아시아 차세대 리더 선정 (세계경제포럼)끼유명희운전을 할 때 늘 새로운 길만을 고집하는 그를 두고 주변에서는 왜 사서 ... ...
-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과학동아 l200306
- “안녕하세요. 저희는 이번학기 과학반 수업을 맡게 된 이화여자대학교 WISE 센터 학생들입니다. 여러분을 만나게 돼 반갑습니다.” 단정하고 편안한 차림의 여대생 5명이 목련만큼이나 환한 웃음을 지으며 3월 서울 중암중학교 교단에 섰다. 과학반 학생들은 대학생 언니, 누나와의 만남이 설레인 ...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과학동아 l200101
- 쾌거가 언론에 발표되기도 했다.2000년 6월, 한국천문연구원의 지구접근천체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와이스타’(YSTAR, Yonsei Survey Telescopes Astronomical Research) 팀과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그 1단계 목표는 지름 50cm 광시야 광학계에 고속추적 기능이 추가된 작은 로봇망원경을 설치, 테스트하는 작업이 ...
- 한국천문 연구원, 소행성 2000KJ4 발견과학동아 l200008
- 못한 상태다.이번 관측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수행중인 지구접근천체 추적감시연구와 연세대학교 와이스타 프로젝트의 공동연구 결과로써 연구 초기단계인 시험관측 도중에 이루어졌다. 현재 지구접근천체에 대한 관측이 계속되고 있으며 지구접근천체 탐색 전용관측시스템이 갖추어지는 2000년 ... ...
- 색맹 병이 아니다과학동아 l200008
- 바로 연락할 수 있다.다행히 최근 국내대학에서도 입학 제한 규정이 완화됐다. 1993년 연세대학교에서는 신체검사 자체를 없애 모든 장애자들이 본인 스스로의 책임으로 전공 선택을 하도록 했으며 뒤이어 서울대학교도 비슷한 결정을 내린 바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대학에서 예전의 규정을 ...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0008
- 과학 위성에 자외선 분광기를 탑재해 뜨거운 성간 물질의 연구에 활용하려 하고 있으며,연세대학교 우주망원경 연구단에서는 미국의 'GALEX'라는 자외선 우주망원경 연구를 NASA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서울대학교에서도 21세기 천문학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는 적외선 우주 천문학 연구에 관심을 ... ...
- 원자와 분자로 글씨를 쓴다과학동아 l200007
- '정석대로 해라.'정도를 따르지 않으면 언젠가는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된다는 신념.실험과 연구를 진행할 때 생길수 있는 편법의 유혹을 버려라.이런 연구실의 원칙 때문일까.나노물질로 실험을 진행하는 학생들의 자세에 진지함이 가득하다.양자성질을 띠는 나노물질나노물질은 그 크기가 ...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0005
- 금속함량이 적은 별들의 이심률 변화를 살핀 결과 저속붕괴이론에 힘이 실렸다.1994년 연세대학교 우주망원경 사업단의 이영욱 교수는 별에 대한 새로운 진화 모형을 이용한 구상성단의 진화 모형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은하 구상성단의 나이 분포는 안쪽 구상성단이 더 나이가 많고, 바깥쪽 ...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과학동아 l199912
- 별처럼 보이기 때문에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별로 불리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연세대학교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의 이영욱 박사팀(이영욱(38세), 손영종(36세), 이수창(32세), 주종명(30세), 이현철(31세))은 오메가 성단이 1백억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작은 은하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결과를 세계적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