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학교
"(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삼보 컴퓨터, 비주얼 재택근무 시스템 가동
과학동아
l
199508
접수하는 등 PC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한 재택근무를 7월부터 시작했다.올해 1월부터
연세대학교
와 원격 화상 MBA 과정을 실시하면서 본격적인 네트워크, 화상회의 솔루션 영업을 시작한 삼보 컴퓨터는 6월 회장 사택에 한국통신의 협조로 T1급(초당 1.5M bps 전송) 전용회선을 설치하고 개인화상회의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06
암과 p53의 관계는 매우 복잡해서 양자가 적인지 동지인지 구분하기조차 쉽지 않다. 암발생을 막는 제동장치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암 유발을 돕는 가속장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정상적인 p53은 암을 억제하고 돌연변이된 p53은 암을 촉발한다.무한궤도를 질주하는 암세포. 비유하자면 제동 ... ...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
과학동아
l
199506
할지라도 우주의 나이는 1백20억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더욱 심각한 문제가 최근
연세대학교
연구진에 의하여 제기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우리 은하내 구상성단보다도 더 오래된 천체가 '거대타원은하'라고 불리는 우리은하보다 수십배에서 수백배 큰 은하 내에 존재하고 있다. 이 연구에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04
로 이곳에는 남반구에서 가장 큰 지름 4m의 반사 망원경이 있었다. 이 천문대에는
연세대학교
천문대의 관측팀이 이미 도착해 있어 관측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남반구의 하늘은 북반구에서 온 이방인에게 그 신비한 모습을 감추려는듯 계속해서 폭우를 쏟아대고 있었다.3일간의 폭우 끝에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09
도시의 밤하늘 얼마나 오염됐을까? 5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11곳을 동시 관측해 그 결과를 비교했다. 현대인들, 특히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별보는 일을 포기한 지 오래다. 하늘을 바라볼 여유도 없으며 어쩌다 밤하늘에 시선이 가도 두터운 먼지층으로 뒤덮인 희뿌연한 하늘만이 멀건히 모습을 드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02
위성통신 이동통신 등 통신산업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관련기업의 적극 지원에 힘입어 92년 수도권 7개대학에 전파공학과가 생겨났다.92학년도부터 고려대 광운대 경희대 아주대 연세대 한양대 홍익대 등 수도권 7개대학에 전파공학과가 새로이 생겨났다. 학부과정부터 전파를 특화해서 연구할 수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06
대한 기초연구와 단백질공학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필자가 소속된
연세대학교
에서는 효소의 구조와 촉매반응 메커니즘, 콜레스테롤 운반과 관련된 단백질, 종양괴사 단백질, 단백질과 DNA의 상호작용, 단백질 생합성 메커니즘 등 기초연구가 중점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04
디스크로 꼼짝못하고 누운병실에서 한순간 논문주제에 관한 기발한 생각이 떠올랐다.다른 직업도 다 그러하지만 과학자가 되는 길도 쉽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다른 직업과 비교하여 그 길이 가장 어렵다고는 보지 않는다. 내가 걸어온 인생의 자취를 지금에 와서 돌이켜보면 비교적 ... ...
수학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009
객관식과 4지선다형의 해독이 한국의 수학은 물론이고 과학발전을 저해하고 있다.한국 고등학생의 수학실력이 계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적어도 수학엘리트들의 실력대결장인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는 뒷걸음질 현상이 두드러진다. 처음 출전했던 제29회 호주대회(88년)에서는 49개국중 22위(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08
신석기시대에 머물러 있게 된다.그러나 1964~74년에 걸치는 10년간 손보기교수를 비롯한
연세대학교
박물관팀이 공주 석장리유적을 우리 손으로 발굴하여 구석기시대와 문화를 인정받음으로써 식민사관의 허구성을 밝혀내게 됐다.(북한에서도 웅기 굴포리유적을 이 때 발표했다) 이어 글쓴이는 1978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