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문학
까닭
원인
영어
d라이브러리
"
영문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11
과학자들과 담소를 나누던 자리에서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이 문 박사가 부럽다고 했다.
영문
을 몰랐던 문 박사는 “여러 분야 과학자가 함께 모여 한가지 연구를 할 수 있고, 서로의 연구에 대해 다양한 칭찬과 질타가 오가는 한국의 연구여건이 좋다”고 평가하는 그들의 설명을 듣고 고개를 ... ...
왜 고막만 알아주는 거야? 귓속뼈
과학동아
l
200411
히스타키오관(hystachian tube)은 실제로 없다.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과 자궁(hyster)의
영문
을 연결해 만든 농담이다. 히스타키오관이 있다면 부부관계를 할 때 질 속 압력이 히스타키오관을 거쳐 가운데귀로 전달돼 고막이 터진다는 설명도 우스갯소리다.귀는 어떻게 소리를 들을까. 소리가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10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하이브리드’ 는 ‘잡종’ ‘혼혈’ 이란 뜻의
영문
표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로 움직이는 차량이다. 속도에 따라 엔진과 전기모터를 번갈아 가며 작동하며 주행중 발전한 전기를 다시 전지에 충전해 사용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07
문제가 있다.강 교수팀이 사용하는 방법은 ‘KMLYP DFT’ 다. 여기서 K는 강 교수의
영문
머리글자이고, M은 그의 지도교수, LYP는 연구에 협조했던 다른 3명의 머리글자다. 강 교수가 스탠포드대 박사과정 시절 압 이니쇼 방법과 DFT 방법의 단점들을 보완해 개발한 새로운 방법이다.“우리 팀이 사용하는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04
발견한 소행성 5개의 고유명칭으로 제안했던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의
영문
이름이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3월 6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이 소행성들은 2000-2003년에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영범 박사와 이병철 연구원이 보현산천문대에서 지름 1.8m 망원경으로 발견한 것이다. 전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skepdic.com
과학동아
l
200404
어떤 것이 과연 완전하고 충분한 확실성을 갖고 우리에게 알려지는가를 생각한다.
영문
과 한글 사이트 모두 텍스트 위주로 구성돼 사이트가 예쁘지는 않지만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황사가 궁금해요 yellow.metri.re.kr매년 3월과 4월이 되면 서쪽에서 누런 구름이 몰려온다. 황사는 아시아 대륙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03
단순한 것부터 영매 무당에게 나타나는 강령(降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투시의
영문
표기 clairvoyance에서 접두사 clair은 '깨끗한'(clear)을 뜻하는 프랑스어다 일반적으로 육안을 사용하지 않고 보는 초감각현상들을 모두 투시라고 말한다 사이코메트리(psychometry)는 그리이스어 '혼'(psyche)과 '측정'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01
아나운서의 말끄러운 목소리가 흘러 나오자 여기저기서 ‘우와’하는 탄성이 쏟아졌다.
영문
을 알 리 없는 지게꾼들은 그저 서로 바라보며 놀란 눈만 껌벅거릴 뿐이었다. 뒤에서 팔짱낀채 못마땅한 표정으로 잠자코 있던 양반네들도 눈앞의 이 진풍경에 입을 다물지 못했다. 이 놀라운 소식은 팔도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11
쪼개보니 밤벌레가 몸통이 잘린채 죽어있는게 아닌가.밤톨 속에서 느긋하게 지내다
영문
도 모른 채 쪄 죽은 벌레가 더 억울하겠지만 껍데기는 멀쩡한데 뜻밖에 벌레를 씹게 된 기분도 과히 유쾌하지는 않다. 밤껍질을 얼핏 봐서는 벌레가 먹었는지를 알기 어렵다. 이렇게 한번 당하고 나서 유심히 ... ...
5 인파에 섞인 범인 잡는 지능형 재난방지기술
과학동아
l
200307
광보안 소재와 소자 및 나노칩 구현 기술이다.지금까지 IT에서 사용된 암호키는 숫자와
영문
알파벳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암호를 조합해, 이를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정보보호 방어망이 쉽게 깨지고 만다. 원천적으로 안전한 IT 시스템은 없다는 말이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