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문"(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과학동아 l200201
- 게놈은 한 생명체가 갖는 유전자 전체(유전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테옴은 단백질의 영문표현인‘protein’과 전체를 뜻하는 접미사‘-ome’를 합성해 만든 신조어다. 게놈이 유전자 전체이고, 프로테옴은 단백질 전체를 뜻한다. 즉 포스트게놈연구는 바로 단백질이 표적이 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과학동아 l200112
- 기술의 시험무대K스타(KSTAR)는 원래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라는 긴 이름의 영문 표기에서 각 단어의 첫머리 대문자만을 따온 말이다. 이를 풀어 보면 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토카막이라는 핵융합 실험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의 차세대 핵융합 연구 프로젝트다.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과학동아 l200111
- 무슨 신비한 힘을 지녔는지 오히려 소가 무서워서 벌벌 떨었다. 물론 사람들은 어찌된 영문인지도 몰랐다. 그래서 이 머슴은 큰 소를 부려서 나무도 하고, 논도 갈 수 있었다.게다가 이 작은 머슴은 힘이 어찌나 장사인지 덩치 큰 머슴도 당해낼 수 없었다. 한번은 덩치 큰 머슴과 물대기 힘겨룸을 ...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과학동아 l200111
- 발견된 경우에는 바이러스 이름 뒤에 하나의 구분을 더 하는데, 숫자로 표시하는 경우와 영문자 알파벳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숫자 표시는 바이러스 코드의 크기를 바이트(byte)로 표시하는 것이고, 알파벳 표시는 변종이 발견되는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A부터 이름을 붙여나가는 것이다. ...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과학동아 l200110
- 어떤 환경에서도 임무를 완수할 수 있게끔 훈련돼 있다.해상(Sea), 항공(Air), 육상(Land)의 영문 머리글자를 따서 지어진 실(SEAL)은 1962년 1월 1일 케네디 대통령의 특명에 의해 창설된 미 해군의 최고 엘리트 특수부대다. SEAL의 고유 업무는 해상, 항공, 육상의 입체적인 침투를 통해 적 상황을 관찰하고 ...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과학동아 l200107
- 그러나 아침에 일어나보니 원래처럼 근사한 자기집이었다.왕희지의 장인은 무슨 영문인지 몰라서 사위를 다시 불렀다. 왕희지의 설명은 이러했다. “제가 한 일자를 쓸 때는 밤이었는데, 은하수가 너무나 아름다워서 그 정기를 모아 은하수 모양처럼 한획을 죽 그어 한일자를 썼습니다. 그 정기가 ... ...
- 편리한 인터넷 이용 한글도메인 서비스과학동아 l200104
- 우려되고 있다. 특히 키워드방식은 전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주소를 사용하는 영문도메인과 달리 업체별로 연결해주는 형태이기 때문에 중복될 우려가 크며, 엄밀하게 도메인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이런 이유에서 중복을 막기 위해 선택된 방식이 계층방식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도메인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03
- 책을 미국에서 발간하기도 했다. 생물공학의 ‘생’자도 모르던 그가 ‘대사공학’이란 영문책을 내기까지 얼마나 노력했을지는 짐작이 간다.실용적 관점 강한 ‘화공쟁이’이상엽교수는 성실하다. 그리고 언제나 노력한다. 그러한 자세가 오늘의 이교수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말이다. ...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과학동아 l200102
- 수 있다는 성질이 어디에 쓰일 수 있을까. 바로 우리의 건강을 위해서다. 자기공명영상, 영문으로 보통 MRI라고 불리는 장치가 조셉슨 효과를 이용해 인간 내부를 조사하는데 쓰인다.어떻게 가능하다는 것일까. 인체의 대부분은 물이다. 물은 원자로 구성돼 있는데, 원자 하나하나는 미세한 자기적 ...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과학동아 l200101
- 알 수 있다.1925년 이전에 발견된 소행성에 대해서는 19××년의 천단위 숫자 ‘1’ 대신 영문자 ‘A’를 쓴다. 예컨대 소행성 ‘A904 OA’는 1904년 7월 하순에 첫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을 뜻한다. 그럼 네자리로 된 소행성 번호와 고유이름은 언제쯤 얻을 수 있을까.소행성이 충(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