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
알콜
알코올
본줄기
원줄기
본류
알코올 음료
d라이브러리
"
주류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5
자동으로 초점 맞추는 핸드폰 속 카메라 요즘 판매되는 휴대전화는 카메라가 부착된 게
주류
를 이룬다. 최근에는 디지털카메라급 화소수를 자랑하는 카메라폰이 등장하면서 조만간 카메라가 휴대전화 속으로 아예 흡수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휴대전화용 카메라는 휴대전화의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04
수성(水性)화산활동이라고 한다.이처럼 제주도 화산분출은 초기에 수성화산활동이
주류
였다. 실제로 제주도 지하에는 이런 수성화산체가 곳곳에 분포하는 것이 시추에서 확인된다. 아마도 제주도를 이루고 있는 용암을 다 걷어낸다면 일출봉과 같은 수성화산체가 곳곳에 분포하는 제주도 형성 초기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04
수동형과 능동형 2종류로 나뉜다.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자태그는 수동형이 아직까지
주류
다. 물론 미국과 유럽 일부에선 능동형 태그도 소량이지만 도입된 사례가 있다. 수동형은 칩이 담고 있는 정보량이 적어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힘을 빌려야 한다. 반면 능동형 태그의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04
뿐이었다. 이처럼 태블릿PC는 2002년 11월 처음 소개됐을 당시 업계의 기대와 다르게
주류
에서 멀찍이 밀려나 있었다. PDA나 노트북과의 차이를 알수 없었던 일반인에게 태블릿PC는 또다른 성능좋은 휴대단말기 정도로만 비쳐져 왔다.최근 태블릿PC업계가 오랜만에 침묵을 깼다. 강력한 서체 인식기능과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03
연구는 ‘trial and error’, 즉 이것저것 변수를 바꿔가며 최적의 조건을 찾는 방법이
주류
다. 그 결과 이만큼까지 왔지만 여기가 한계라는게 오 교수의 생각이다.“줄기세포 연구가 열매를 거두려면 기초분야, 즉 분자생물학 연구가 뒷받침되야 합니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가 췌장세포로 변하게 하는데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03
나노입자라고 한다. 이처럼 미세한 나노입자가 사용된 제품이 현재 나노상품 시장에서
주류
를 형성하고 있다.시민단체의 모라토리엄 요구 가장 대표적인 상품은 화장품. 로레알은 1998년 나노입자를 이용해 비타민 A를 피부 깊숙이 스며들게 해주는 주름방지 크림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이후 ... ...
무선 네트워크에 번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03
망의 편리성을 누릴 수 있을까? 빌 게이츠는 5년 후쯤이면 이동 애드혹 망이 무선통신의
주류
를 형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텔은 이보다 빠른 3년 후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현재의 보급 수준은 그야말로 시험적 수준이다. 실제 구현이나 상용화의 관점에서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이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01
PVR) 내장형 등 기능에 따라 나뉘기도 한다. 물론 처음에는 수신기 가격 때문에 차량용이
주류
를 이루겠지만 점차 휴대형 수신기가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개개인이 하나쯤은 갖고 있는 휴대폰과 합쳐질 경우 DMB확산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물론 채널과 사용자가 늘어나면 그만큼 다양한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01
써 만든 16비트 퍼스널컴퓨터 현재 세계 퍼스널컴퓨터시장은 XT에서 AT로 그
주류
가 옮아가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세계의 표준기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속도는 6Mhz에서 최고 20Mhz까지 다양하다스타트렉에 나오는 기술로 2360년대에 구현되는 실제적인 가상현실 시스템이다 이동(transporter)과 복사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11
더 지난 1966년에야 이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았고 4년 뒤 91세로 사망했다.그 뒤로도
주류
의학계는 감염과 암의 연관성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감염이 동물에게 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당연시했던 1975년에도 많은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사람에게 적용할 수 없다고 믿었다. 10년이 지나자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