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
알콜
알코올
본줄기
원줄기
본류
알코올 음료
뉴스
"
주류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능성 김치 유산균, 생태계
주류
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김치 발효 과정에서는 어떤 발효균이 우점을 차지하는지에 따라 김치의 품질과 영양성분이 달라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김치 발효 과정에서는 어떤 발효균이 우점을 차지하는지에 따라 김치의 품질과 영양성분이 달라진다. 국내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고기능성 김치종균이 발효 과정에서 우점 ... ...
[ISS2025] "위성 해킹으로 다른 위성 충돌·파괴할 수도…안전장치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보안 분야만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 국내에 5~6명 정도 되는 것 같다"며 "
주류
라고 보긴 어렵지만 독립적인 분야 수준으로는 규모가 커졌다"고 말했다. 우주 보안 기술 발전을 위해 각 분야 연구자들의 소통이 강조됐다. 그는 "우주나 위성 분야를 연구자와 사이버 보안 연구자들이 ... ...
21대 대선…생채기와 숙제 남은 과학은 어디로
2025.05.31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현재 AI는 기술 패턴이 굉장히 빠르게 변화해 자칫하면
주류
연구에서 쉽게 벗어난다. 때문에 뾰족한 방향과 목표를 둔 정책은 오히려 위험하다. 또한 AI는 소위 말하는 '앞단'의 기반 기술이다. AI와 바이오를 결합하고 AI와 국방을 결합한 기술이 개발된다. 이때 앞단의 ... ...
“핵융합 조기 상용화하는 데 KSTAR 성능 한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대부분은 토카막 방식이다. 윤 부원장은 "토카막은 30~40년전 여러 방식이 경쟁한 뒤에
주류
가 된 것"이라며 "과학적·기술적으로 따져봤을 때 토카막이 가진 기술적 장점이 크고 실제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토카막이
주류
"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 한국이 KSTAR로 쌓아온 경험을 활용해 빠른 시간 ... ...
'제로 슈거'가 설탕보다 건강?…혈관 염증 유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감미료를 사용하는 제로 슈거가 일상 곳곳에 자리잡았다. 탄산음료, 아이스크림, 빵,
주류
등 다양한 음식에 체내 흡수율이 낮은 인공 감미료가 쓰이고 있다. 체내에 잘 흡수되지 않는다는 것은 칼로리가 낮다는 의미로 거리낌 없이 단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점이 통하고 있다. 과학자들이 인공 ... ...
레카네맙·도나네맙…알츠하이머 정복, 코 앞일까
과학동아
l
2025.02.15
다양한 사건을 겪으며 그 위상이 꺾였지만 학계에선 여전히 아밀로이드 베타 가설을
주류
학설로 인정하고 있다. "큰 틀에서의 가설은 이렇습니다. 우선 아밀로이드 베타가 쌓여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됩니다. 아밀로이드 베타가 타우 단백질을 응집하는데 영향을 주면서 두 단백질이 뇌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마하),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ke America Healthy Again)'를 내놓았다. 문제는 이들의 생각이
주류
과학계 및 의학계와 다른 부분이 꽤 많아서 이들이 추진하는 정책이 미국인뿐 아니라 지구촌 사람들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걱정이 많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 ...
국제 플라스틱 협약 in 부산…치열한 대립 속 해법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5.01.11
수 있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모든 국가들이 모여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주류
화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월호, 국제 플라스틱 협약 in 부산…치열한 대립 속 해법을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비슷한 것까지 분포한다. 필자가 본 것은 낟알 탈립성의 관점에서는 중간쯤일 것이다.
주류
이론에 따르면 앵미 역시 3500년 전 한반도에 벼가 들어올 때 딸려왔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 조 교수는 한반도 재래종과 잡초벼를 주목하고 있다. 여기서 보이는 놀라운 다양성은 3500년 전 중국에서 온 벼에서 ... ...
“노벨상 받은 단백질 구조 예측 AI, 원하는대로 결합하는 단백질에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집중하던 공학 분야의 연구에서 AI의 성질 자체를 탐구하는 자연과학적 관점의 연구들이
주류
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앞으로는 지시받지 않은 내용을 스스로 창조하는 AI의 창발성이 주목받을 것"이라며 "학계 일각에서는 이미 AI가 인간을 넘어섰다는 농담 반 진담 반 이야기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