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공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별처럼 활짝 피는 공버섯 공버섯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되었을 땐 흥분이 가라앉질 않았습니다. 세상에 이렇게 신기한 버섯이 있다니! 버섯들이 이 ... 근무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 중이다. 용어 설명●효소: 체내에서 생명활동과 관련된 화학 반응에 기여하는 화합물 ... ...
- [JOB터뷰]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PIXAR 애니메이션 이채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지난 5월 30일, 세계 최대의 엔터테인먼트 기업 디즈니픽사에서 일하는 이채연 3D 애니메이터를 만났습니다. 이채연 애니메이터는 6월 개봉한 뿐만 아니라 와 등 유명 작품에 참여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지요.픽사의 캐릭터들은 ... ...
- [기획] 비상! 대량발생 '동양하루살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가로등을 집어삼킨 하루살이 떼의 모습입니다. 이런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오뉴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하루살이 때문에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반복되고 있어요. 벌레들의 대량발생, 과연 원인이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비상! 대량발생 '동양하루살이'Part1. ... ...
- [기획] 벌레들의 대량발생 방제보단 공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하는 곤충들뿐 아니라 함께 살던 다른 생물들까지 죽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신승관 교수는 “현재 산 등에 실시하는 방제는 천적을 같이 없애거나 약품에 내성을 키울 수 있다”며 “결국엔 생태계를 교란시켜 또다른 곤충의 대량발생을 일으킬 것”이라고 밝혔어요. 이어 ... ...
- [이달의 우주날씨] 엔셀라두스에서 발견된 물기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필요하고, 생명체의 활동으로 유기물이 만들어 지며, 적당한 대기는 태양 빛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하니까요. 지난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 웹 우 주 망원경이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솟구친 거대한 물기둥을 촬영한 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이 물기 둥의 높이는 약 1만km로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5월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해 나비의 진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최초의 나비를 찾았어요. 이와 함께 나비의 이동 경로도 살폈지요. 그 결과, 연구진은 “최초의 나비는 1억 140만 년 전 북아메리카 ... ...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산소를 구석구석 보내주고, 세포에 영양소를 공급해요. 또 노폐물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생명을 유지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수혈의 역사는 1666년, 영국 의사 리처드 로워가 동물 사이의 수혈에 최초로 성공하며 시작되었어요. 당시 리처드 로워는 건강한 개의 동맥을 쓰러진 개의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있어요. 이때 관심 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융합해서 보고서를 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생명과학 수행평가여도 생물의 증식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인 ‘로지스틱 곡선’을 주제로 탐구해도 돼요. Q. 커서 어떤 일을 하고 싶어요?수학을 이용해서 인류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응용수학자가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개선되기 시작했다. 2010년대 초반, ‘3세대’로 불리는 염기서열 분석법들이 등장했다. 생명공학 기업 ‘퍼시픽 바이오사이언스’와 ‘옥스포드 나노포어 테크놀로지’, 두 회사의 기술로 대표되는 3세대 분석법은 ‘롱 리드(long-read)’ 분석법이라고도 불린다. 많아봤자 100~500개 정도의 염기를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저는 인생의 과제, 건강관리에 실패했습니다.” 마지막 연사인 문진우(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씨의 이야기는 조금 무거운 분위기에서 시작됐습니다. 문 씨의 말투에 웃음기가 묻어났지만 쉽게 웃을 수 없었던 이유는 이 이야기의 주제가 그가 어떻게 악성 뇌종양을 앓게 됐는지였기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