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미국에서 유전체학은 치료보다는 조상 찾기 등의 서비스로 먼저 소개됐습니다. 거대 생명공학 기업으로 성장한 미국의 ‘23andme’도 주 사업 수단은 조상 찾기였죠.” 서 회장은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유전체 분석을 저렴하고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다면, 한국에서도 찾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라고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체실험물의 경우 윤리 가이드 라인을 따라야 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학교에는 생명윤리위원회가 있고, 그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인체실험물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연구진의 인체실험물을 연구에 사용하는 것은 가이드 라인에 어긋나기 때문에 자신의 털이 절대 아님을 강조(?)했다. 신 교수는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 있겠죠. 열대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플랑크톤 사피리나(Sapphirina)는 투명한 몸을 가진 생명체입니다. 항상 투명한 것은 아니지만 빛의 각도에 따라 순간 투명하게 보일 때가 있습니다. 사피리나의 등 부분은 육각형 모양의 구아닌 결정 층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사피리나는 빛의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절실했다. 극한의 환경에서 생명체를 생존하게 해주는 다양한 장치와 기술을 통틀어 생명지원시스템(LSSLife Support System)이라고 부른다. 화성 표면에 나갈 때 내가 입는 우주복부터 대원들의 생존을 위해 정조 과학기지에 설치된 모든 장비가 전부 LSS에 속한다. 임무를 위해선 화성 표면에서 식물체를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그중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은 원시지구★ 와 환경이 비슷해요. 과학자들은 이곳에 생명체가 살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지요. 용어 설명궤도★ 어떤 물체가 한 점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도는 길이에요.위성★ 어떤 행성의 주변을 일정하게 도는 천체예요.원시지구★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이전의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지적 존재가 과연 존재하는가다. 우주의 기원 즉, 빅뱅에 더 근접해서 보기 위해, 다른 생명의 흔적을 찾기 위해 여러 종류의 관측 기기가 지상과 우주에서 가동되고 있다. 지적 호기심이 STEM으로 연결돼야! 물리는 수학의 뒷받침을 요구하고, 여러 첨단 관측 도구를 만들려면 공학과 기술이 ... ...
- [그래픽뉴스] 7년 만에 돌아온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시료 캡슐을 미국 유타주 사막까지 성공적으로 배달했다. NASA는 10월 11일(현지시간) 베누의 샘플에서 생명체 형성에 필수적인 물과 탄소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성되지 않았다. 커리코 교수의 다음 질문은 “왜 내가 만든 mRNA가 원하는 대로 생명체 내에서 작동하지 않을까?”였다. 커리코 교수는 연구 끝에 그 이유가 mRNA의 구성 물질 중 하나인 유리딘이라는 염기에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유리딘 대신 메틸 슈도유리딘으로 mRNA 백신을 만드는 방식을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위해서는 생명체 내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으면서, 동시에 생명체가 침입자로 인식하지는 않는 로봇을 개발해야 한다. 하지만 나노 세계는 일반 세계와 완전히 다른 유체역학 법칙이 작용하는 곳이다. 원하는 동작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를 작게 만드는 일조차 누구도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유전자들인 CDH1, ARID1A, RHOA를 찾았고, 이 유전자들이 조기발병위암 발병과 관련된 중요한 생명현상에 관여한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위 두 가지의 연계 분석만 활용해 환자들을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면 치료 후의 상태가 개선되지 않습니다. 본 연구에선 단백질 활성과 연관된 인산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