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국말
지나
중국인
한어
d라이브러리
"
중국어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도 인터넷 전문검색사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철저하게 2진코드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한국어를 입력하면 한국어 뿐만 아니라
중국어
일본어까지 몽땅 출력돼 짜증을 안겨주기도 한다.한글 검색이 가능한 서치엔진들도 각각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테면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한글사이트 서치엔진인 심마니(http://simmany.hnc.net)는 ... ...
1. 세계는 왜 중국을 두려워하는가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언어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영어라고 답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정답은
중국어
다. 12억이 넘는 인구는 ‘먹여 살려야 한다’ 는 경제적 부담감과 누구도 제공해 줄 수 없는 맨파워라는 상반된 두가지 의미를 갖는다. 사람이 많아 힘이 센 나라, 중국이다.중국의 과학기술 수준이 우리나라에 ... ...
3. 중국대학 4인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학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형편.국제교류처장을 맞고 있는 서란(츄유안)교수는 “
중국어
나 영어가 가능한 외국인 학생들의 입학을 적극 허용하고 있다”면서 “한국인 유학생은 2백여명 정도로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복단대의 유학생도 상해 교통대학의 한국 ... ...
2. 인간 흉내일 뿐 기계 한계점 극복 불가능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본 사람들은 방안에 있는 사람이 그 이야기를 이해하였다고 생각하겠지만 자기 자신은
중국어
를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컴퓨터는 흉내를 낼 따름이지 진정한 이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진정한 지능은 인간의 특권'괴델, 바하, 에셔'의 저자로도 유명한 홉스 태터는 '아인슈타인의 ... ...
아시아 어린이 언어체계 때문에 수학 잘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산 호세주립대학의 교육 심리학자인 아이렌 미우라 교수에 따르면 수 개념은 한국어나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동양 언어에서 더 잘 이해된다는 것.미우라 교수를 비롯한 일군의 연구자들은 미국 프랑스, 스웨덴 출신의 어린이들과 아시아권의 어린이들에게 숫자 블록을 주고 42를 세도록 하는 실험을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진동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의미를 달리하는 언어를 성조어(예
중국어
)라고 한다. 경상도 방언 역시 성조언어여서, /말/이란 낱말은 목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언어'와 '동물의 말'로 뜻이 달라진다.소리의 세기는 성대에서 나는 소리의 진폭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중심으로 시작한 일영 논문초록번역시스템은 1985년 완성됐다. 1986년부터는 6년 개획으로
중국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등의 번역시스템 개발에 총 70억엔을 통산성에서 투자한다.일본의 기계번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활발하여 현재 20여개의 상품이 나와 있다. 후지쓰의 아틀라스(ATLAS-II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6폭의 커다란 타원형 세계지도다. 이지조는 마테오 리치를 도와 많은 서양 과학기술서를
중국어
로 번역한 사람이다.이 지도는 그 당시 유럽에서 유행했던 아피아누스도법(Apian projection)을 따르고 있다. 그것은 오르텔리우스(Ortelius)의 1570년판 지도첩(帖)과, 메르카토르(Mercator)의 1595년판 지도첩들과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과목을 살펴보면 처음 3학기동안에는 교양과목과 한의학개론 의사학 의학한문 생리학
중국어
해부학 발생학 생활학 의학통계 등이 주요과목이었다. 이런 과목을 통해서 전공에 대한 기초를 다지게 되는데, 특히 학사(學史) 공부를 통해 인간을 직접 대상으로 한 수십만년의 임상실험의 토대 위에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이것도 정도 문제일 뿐 중국에 그런 추론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와 관련해서
중국어
자체가 단수 복수 남성 여성 및 주격 소유격 목적격 등의 여러 문법적 구별을 갖지 못해서 엄밀한 과학적 논리전개에 부적당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엄밀한 논리전개를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