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석"(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올가미를 만들어 나무를 오르는 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오를 수 있다는 게 장점이지만 단점도 많아. 연구팀이 올가미 이동법을 촬영해서 영상을 분석하니, 매우 느리고, 잘 미끄러지는 데다 체력도 많이 쓴다는 사실을 알아냈지. 연구팀은 우리의 새로운 이동 방법을 알아냈으니 멸종위기 새들을 보호할 새로운 장애물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미친 요소들을 그래프로 그려 보여주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분석하는 AI의 다양한 알고리듬 중에 어떤 알고리듬이 얼마나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그래프에서 색이나 빈도수로 알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을 활용하면 블랙박스에 갇힌 것처럼 알쏭달쏭했던 AI의 판단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문제입니다. 지수가 1이거나 1보다 큰 경우를 먼저 증명해보고, 다양한 전략의 장단점을 분석해서 증명을 강화시켜 나가면 난제를 증명할 수 있지 않을까요?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한 명씩 만나봅니다. 이번 주인공은 꾸준히 함께 풀고 싶은 문제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JPL)의 조나단 지앙 연구원팀은 ‘디스커브르(DSCOVR)’라는 심우주 기후관측위성 자료를 분석해 지구에 반사된 태양빛이 파장대마다 24시간 주기로 변한다는 사실을 2018년 7월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847/1538-3881/aac6e2이 연구결과는 지구가 하나의 점으로밖에 보이지 않더라도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틈이 없습니다. 자구책이 시급합니다. 김효은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연구소의 자체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지역 대학 3곳 중 1곳은 신입생 정원의 70%를 못 채울 것”이라며 “사립대는 대부분의 수입을 등록금에 의존하기 때문에 낮은 충원율은 곧 대학의 생존에 치명적인 결과를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대해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실은 지질학자들이 고생물학자와 함께 퇴적암과 화석을 분석한 결과예요.이처럼 지질학은 지구가 남긴 증거를 통해 까마득한 과거의 사실을 밝혀나가요. 그러다 보니 많은 시간을 야외에서 보내죠. 자료를 찾기 위해 산, 호수, 사막, 바닷가, 빙하처럼 지구 표면에 드러난 ... ...
- [수학뉴스] 빅데이터로 본 표정, 국적은 달라도 70%는 비슷하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 144개국 사람들이 올린 약 600만 개의 유튜브 영상 속 표정을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놀라움, 슬픔 등 16개의 감정과 연관 있는 표정을 분류해 일종의 지도형 데이터를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얼굴에 있는 43개 근육이 움직여 수천 가지의 표정을 만들 수 있으며,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전 크게 화제가 됐던 ‘정인이 사건’ 같은 아동학대 사건도, 학대 당한 아이들의 사진을 분석해 얼마나 위험한지 ‘학대 위험 점수’를 매기고, 빠르게 대응하는 데 활용할 수 있어. 의사가 놓치는 부분 잡아낸다질병은 조기 진단이 중요해. 통계청에 따르면 말기 생존율이 약 6%인 폐암은 조기에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편: 이번 특집에서 특이한 점이 있다면?영경: 36년치 과학동아 기사를 통해 KAIST 연구를 분석했다. 국내 과학 트렌드가 보였다.편: 다양성에 신경 썼다. 인터뷰, 일러스트에 다양한 분야, 연령, 성별을 담으려 노력했던데.영경: 그래도 인터뷰이에 남성이 많은 건 아쉽다.2. 편: 미국, 중국, ... ...
- [과학뉴스] 이 뱀이 나무를 오르는 비법 ‘셀프 올가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매끄러운 원통 장애물은 갈색나무뱀에게 무용지물이었고,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영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뱀이 원통을 기어오르는 새로운 방식을 포착했다. 갈색나무뱀은 원하는 곡률만큼 접을 수 있는 길고 유연한 몸을 이용해 원통을 감싸는 큰 원을 만들었다. 그리고 올가미 형태로 몸을 접은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