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1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안부 등, 질병관리청 연구기관 이관·인력충원 문제 등 재검토(종합)
연합뉴스
l
2020.06.08
보건복지부로 옮기는 당초의 조직개편안에 대해 '무늬만 청 승격'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자
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립보건연구원 이관 문제가 재검토되는 것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행정안전부를 주축으로 복지부, ... ...
”난간에 묻은 바이러스DNA, 10시간이면 병원 절반에 퍼져...5일 뒤에도 생존”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퍼지는지를 식물 바이러스를 이용한 실험으로 확인해 국제 학술지 '병원감염저널' 7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위험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대신 사람을 감염시키지 않는 식물 바이러스의 DNA를 대신 이용했다. 이 DNA를 코로나19 환자의 호흡기 샘플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한 농도를 ... ...
암의 원인 '돌연변이'의 다양성 결정하는 요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1
일자
에 발표됐다. DNA에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유전 정보가 보관돼 있다. 하지만 자외선이나 화학물질, 방사능 등 외부 자극에 노출될 경우 보관된 내용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생명체는 변형된 DNA를 수정하는 복구 ... ...
와인 ‘떫은 맛’ 구분하는 ‘전자 소믈리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UNIST 연구진이 개발한 전자 혀 개요. UNIST 제공. 사람마다 느끼는 ‘맛’은 제각각이다. 그러나 식품이나 의약품을 개발할 때는 맛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국내 ...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드 어드밴시스’ 6월 6
일자
에 게재됐다. ... ...
나노 신소재 '멕신' 전기 잘 통하는 긴 섬유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7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
일자
에 발표됐다. 멕신은 탄소와 티타늄 등 중금속원자를 이용해 제조한 얇은 판 모양의 소재다. 전기전도성과 열 전도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높아 차세대 전자제품에 널리 쓰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 ...
‘생활 속 거리두기’ 성공하려면 "접촉 수보다 접촉자 수 줄이는 게 효율적"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 4
일자
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먼저 특성이 비슷한 사람끼리만 소규모 접촉을 허용하는 ‘끼리끼리’ 전략이다. 사는 지역이 같은 사람들(이웃)끼리 모이거나 비슷한 ... ...
코로나19 종식 열쇠 '집단면역' 갈 길 멀다...스페인 "면역인구 아직까지 5.2%"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이후 다시 감염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일반 바이러스학 저널’ 지난달 2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스와 메르스의 경우 병의 중증도와 같은 요인이 얼마나 면역력이 지속되는지에 영향을 준다”면서 “공통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면역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고 ... ...
인간의 토지 사용 변화가 코로나 확산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5
9와 같은 인수공통감염병 출현을 야기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포유류 리뷰’ 3
일자
에 발표했다. 인수공통감염병은 사람과 동물 사이에서 상호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한 전염성 질병으로 20세기 들어 사람에게 발생하는 신종 감염병의 75% 이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이런 ... ...
WHO 어쩌다 효과없다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임상 재개했나…엉터리 자료 썼다 '낭패'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 3
일자
에 발표했다. 코로나19 환자 821명을 대상으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오히려 가짜약(위약)을 복용한 환자의 발병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복용군의 코로나19 ... ...
벼 노화 늦추는 유전자 알아내 수확량 7%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4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식량 부족은 전세계가 함께 겪고 있는 문제다. 작물 수확량을 늘리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작물의 노화 속도를 늦춰 수량성을 높이는 ‘노화지연’ 이론이 식량 부족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