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아·어린이 코로나19 환자 적은 이유는 ACE2 단백질 수 차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4
발현량이 성인에 비해 크게 적다는 사실을 발견해 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21
일자
에 발표했다. ACE2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 세포에 감염되기 위해 인식해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어린이나 유아의 코로나19 환자 ... ...
"렘데시비르, 코로나 회복기간 30% 단축" 논문 나와...중증엔 효과 적고 치명률 감소도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5.24
이중맹검 임상시험 예비결과를 미국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23
일자
에 발표했다. 국내에서는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이 참여했다. 이번 결과에서 연구팀은 1063명의 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절반에게는 렘데시비르를, 나머지에게는 위약(플라시보)를 주는 대조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및 ‘네이처 생태진화’ 온라인판 12
일자
에 두 편의 논문으로 먼저 발표된 뒤 21
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현생인류는 약 3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탄생한 뒤 8만~11만 년 전 사이에 아라비아 반도를 통해 아프리카 밖으로 이동한 뒤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과학동아
l
2020.05.23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은 2018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7월 5
일자
에 실렸습니다. doi: 10.1038/s41598-018-28254-8 연구팀은 쥐를 그룹별로 나눠 각각 망막세포에 청색광과 적생광, 황색광, 녹색광 등 여러 파장대의 빛을 쪼였습니다. 그리고 오직 청색광을 쪼인 쥐의 망막세포만 ... ...
인류는 코로나19로부터 벗어날 수 없을 듯…"면역력 생겨도 80일뒤 재감염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면역 관련 연구결과 40여개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일반 바이러스학 저널’ 21
일자
에 발표했다. 코로나19 면역에 대해 많이 알려진 것이 없다. 면역 반응이 얼마나 좋은지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 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면역 수준을 알아야 하는 것은 질병의 확산을 통제하고 감염 ... ...
"코로나19 회복 뒤와 백신 접종 뒤 재감염 안돼" 영장류 실험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있다는 사실을 영장류인 붉은털원숭이 실험으로 확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
일자
에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회복되거나 백신을 접종한 뒤 몸 안에 바이러스의 감염력과 병원성을 억제하는 중화항체가 형성되는지 여부와, 이 항체가 바이러스 재감염을 막는 ... ...
”젊은 코로나 환자 상태 급격히 악화시키는 사이토카인 폭풍, 이렇게 발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1
‘앤지오텐신 II’의 활동이 늘어나며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면역’ 20
일자
에 발표했다. 연령대가 젊은 코로나19 환자 중 사이토카인 폭풍 현상을 겪는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달 6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 3월 3일 경북대병원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입원 치료를 받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시각피질에 직접 연결하면 ‘눈이 없어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학술지 ‘셀’ 5월 14
일자
에는 인공시각 시스템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새로운 발견을 담은 논문이 실렸다. 이를 계기로 인공시각의 세계를 들여다보자. 인공시각 시스템은 1960년대 시각피질 보철이 먼저 개발됐지만 ... ...
속도 내는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단백질이 인체세포에 침투하는 과정을 방해하는 단일클론항체 4개를 발굴해 '사이언스' 13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폐에서 바이러스 저감 효과도 확인했다. 국내에서는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 후보물질 발굴’ 과제를 수행중인 셀트리온이 ... ...
수면 장애 원인, 뇌 신경전달 ‘시냅스’ 연관성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김은준 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면 조절과 신경전달 기본 단위인 시냅스 생성의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수면 장애를 포함한 관련 뇌 ...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엠보’ 4월 19
일자
에 실렸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