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03
일본에서도 발견됐던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핵무기가 사용된다면 주변 중동국가는 물론
아시아
도 안심할 수는 없다.인류사에 환경테러(ecoterror)란 가공할 신조어를 낳은 걸프전은 국지적인 환경파괴가 결코 한 지역의 문제에 그치지 않음을 확인시켰다. 최악의 경우를 예상한 '죽음의 시나리오'들은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02
없고 기계적인지식도 없었기 때문에 이들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해야만 했다. 1979년
아시아
작곡가연맹 서울대회가 열렸을 때 일본전자음악이 소개됐고, 80년 황성홍씨가 롤랜드사 초청으로 일본에 두달간 건너가 체계적인 전자음악을 익혀오면서 이 모임은 91년 전롱회의 전신인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02
가장 부유한 국가였다. 기원전 1500년부터 1200년 사이에 이집트의 군대는 나일강 상류와 서
아시아
지역을 침략하여 '이집트 왕국'을 건설했다. 결국 기원전 525년에 페르시아인에게 정복 당해 다시 독립하지 못했지만 이집트는 번창을 지속해왔다.기원전 300년과 30년사이, 이집트는 지구상의 가장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02
분리, 동서(東西) 양반구도(兩半球圖)로 만든 것이다. 한국과 일본 중국을 포함하는 동
아시아
와 유럽 아프리카에 이르는 이른바 구대륙을 왼쪽 원에, 그리고 남북 아메리카의 신대륙을 오른편 원에 경위선과 함께 그려넣고 있다. 8폭으로 된 페르비스트의 세계지도는 곤여전도(坤與全圖)란 제호가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01
Homo sapiens neanderthalensis) : 10만년에서 3만5천년 전에 살았던 종으로 보이며 유럽과 서남
아시아
에 분포했고 뇌의 용량이 최고 1천6백㏄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현대인의 뇌의 크기와 비슷하다(그림4).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 : 현대인의 학명이 H. sapiens이고 본 종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01
몽고인이 건너가먼저 라틴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원을 살펴보자. 베링해협을 건너온
아시아
족, 즉 몽고족이 중남미인의 주류라는 학설이 유력하다. 수렵을 하기 위해 몽고족이 수차에 걸쳐 중남미로 이동해 왔다는 것이다. 또 태평양 중부지역 사람들(Melanesia)과 남태평양 사람들(Polinesia)이 밀려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01
셈인데 사실 헝가리는 19세기부터 우리와 생물지리학적으로 관련이 깊은 동유럽 소
아시아
지역의 생태를 연구해 왔기 때문에 거리는 멀어도 동물지리구상 같은 구북구(舊北區)에 속하는 북한연구는 우리에게 충분한 의미가 있는 것이었습니다.헝가리 자연사박물관이 20년간 12차례에 걸쳐 70명의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01
(坤輿圖說)도 참고했을 것으로 추측된다.이처럼 여지전도는 그 당시의 서유럽과 동
아시아
의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그것을 서양식으로 그리지 않고 조선식으로 그린 점이 이 세계지도의 특징이다. 최신의 정보와 지도학의 지식을 전통의 도가니 속에서 용융시켜 만든 것이다. 이 융합은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01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하게 된 하나의 이유가 된다.) 이제 일본인들은 구 실크로드를 따라
아시아
의 길이만큼 긴 현대식 고속도로를 꿈꾸고 있다.그들은 또한 히말라야 산맥의 풍부한 수자원을 이용하여 무공해 전기를 생산하고 파나마운하의 바로 남쪽인 콜롬비아의 북서쪽 끝부분에 대서양과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01
동물원 등지에서 흔히 보는 구관조는 인도 스리랑카에서 수입해 온 새다. 이 새는 동남
아시아
의 필리핀을 제외한 나머지 섬들에 널리 분포돼 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육수의 발달정도와 몸집의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몇가지의 아종(亞種)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모든 찌르레기과(科)의 조류중에서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