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출부진과 내수폭발의 희비쌍곡선
과학동아
l
199012
향후 2~3년간은 지속돼 내년에는 1백만대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 규모는
아시아
에서 일본을 제외한 최대이며 세계적으로도 다섯손가락 안에 꼽히는 엄청난 시장이다.내수 폭발의 원동력은 무엇보다 학교 컴퓨터 교육. 정부가 다가오는 정보화 시대를 대비해 컴퓨터문맹퇴치를 목표로 ... ...
언어능력의 암수차를 보이는 짧은꼬리원숭이
과학동아
l
199012
사라 고줄은 짧은꼬리원숭이의 고함을 분석하다가 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동남
아시아
에서 들여온 황색의 이 원숭이는 위험을 경고하고, 적에게 겁을 주고, 음식이 있는 곳을 알리고, 그들 사회의 계급을 나타낼 때 고함을 질러댔다.고줄부부는 짧은꼬리원숭이의 비명을 적어도 네가지로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12
세계지도라고 평가했다. 물론 이 지도의 가장 큰 결점은 중국과 조선을 너무 크게 그려
아시아
대륙과 유럽 및 아프리카대륙 간의 균형이 잡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이 지도는 조선 초의 학자들이 서유럽과 아프리카에 대해서도 많은 지리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들은 그 ... ...
금성─불 동반관계로
과학동아
l
199012
기술이전을 위한 조직을 정비하여 한국에 기술지원을 강화하며 2단계로 양사가 공동으로
아시아
지역 공동조사팀을 구성하여 전략제품을 판매한다. 마지막 3단계에 가서 양사는 세계적으로 관심분야에 대한 공동개발 구매 제조 판매 등에 협조체제를 갖추어갈 계획이다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11
우리나라의 해저 석유탐사는 외국 기술진에 의해 시작되었다. 66년 UN 산하기관인 ECAFE(
아시아
극동 경제위원회, 현 ESCAP) 지원사업으로 캐나다 회사가 영일만을 중심으로 한 동해 근해에서 음파 탐사를 실시했다. 68년 미국해군 해양연구소는 황해와 동지나해에서 탄성파탐사(인공으로 지진파를 ... ...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11
생물학자 다윈으로부터 '살아 있는 화석'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나무의 원산지는 극동
아시아
인데 다년생 관목으로 발생학상 침엽수와 비슷하다.자웅이종(남성과 여성으로 구별되는)인이 은행나무는 공해에 잘 견딜 뿐더러 병충해에 강한 면을 보인다. 그래서 가로수로 많이 활용돼 왔고 이 나무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11
수 없다"고 말한다.과학저널리스트 현원복씨는 "동양인 수상자들을 보면 비록 국적은
아시아
인이지만 그 학문적 계보는 모두 미국 유럽쪽에 속한다. 곧 노벨상을 탄 스승 밑에서 연구를 하는 것이 노벨상을 탈 수 있는 첩경이다. 따라서 해외에 있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국내 학자들보다 상대적으로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11
밝혀져 있다. 우리나라에 유입된 연대는 정확히 추정할 수 없으나 동유럽을 통해
아시아
지방으로 분포가 확대되면서 우리나라에 정착한 것으로 볼 수 있다.바퀴로 인한 피해는 두가지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겠는데 우선 불쾌감, 공포감을 주며 어린이를 물어 상처를 내거나 자극성 물질을 분비하여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11
자외선 양의 증가속도가 유럽보다 훨씬 느리다는 자체 조사결과도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아시아
대륙에서 산다고 해서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지구 성층권을 엉망으로 만든 오존층의 구멍은 때로 학자들을 당황하게 할 정도로 변덕스럽기 때문이다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11
드릴 수 있다. 그 방법은 바로 위대한 스승을 갖는 것"이라고 서슴없이 말했다.그것은
아시아
출신의 몇몇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들은 거의 모두가 '훌륭한 스승'을 만날 수 있었던 과학계의 행운아들이었다. 예컨대 30대의 젊은 나이에 1957년 '패리티보존법칙의 반증연구'로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