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및인공지능연구실과 피츠버그대 경제학과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화학 분야의 논문을 조사한 결과, 논문에 쓰인 830개 단어마다 1번꼴로 위키백과 내용이 반영됐다. doi: 10.2139/ssrn.3039505 위키백과의 성장 배경에는 ‘모든 사용자가 동등한 편집권을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s41386-018-0303-6 딥찍찍은 인간의 신경망을 흉내 낸 인공신경망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우선 인공신경망에 쥐의 초음파 발성과 소음 데이터를 입력한 뒤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학습시키고 쥐가 내는 소리와 다른 소음을 구분하게 했다. 그런 다음 쥐의 초음파를 초음파 사진으로 바꿔 이미지로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났다. 달 착륙은 닿을 수 없는 동경의 대상이었던 달을 인류의 생활권으로 바꿔 놨다. 인공위성을 보내 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가 하면, 상업용 달 관광도 계획하고 있다. 50년 동안 발전한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을 사진으로 되돌아봤다. ● 1968. 12. 24 지구가 떠오르다황량한 달에서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신경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인공 신경 보철 장치나 로봇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 학부장은 “이들 연구는 최근 재료공학부 성과의 일부일 뿐”이라며 “재료공학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국내 산업 발전을 책임지는 일인 ...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다음엔 어떤 문제에 도전하겠냐고 묻자 고민하다가 AI를 언급했습니다. 인공신경망 같은 인공지능은 지금도 많은 학자가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지만, 아직 어떤 논리적인 과정을 거쳐서 결과를 내놓는지 밝혀진 것이 거의 없는 현대판 ‘난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연 기 교수다운 선택이지요 ...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200~300개 장치로 동시에 허공으로 발사해 피부에 압력을 가한다. 인공적인 촉각을 만드는 것이다. 황인욱 ETRI SW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세계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해 촉각을 전달하려는 연구가 한창”이라며 “초음파의 영역을 혀의 촉감으로 확대하거나 초음파의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알파고 같이 똑똑한 인공지능을 연구하려면 대학교에서 어떤 전공을 해야 할까? 컴퓨터공학, 로봇공학 등 인공지능 냄새 팍팍 풍기는 전공을 해야 할 것 같지만, 수학이나 ... 무척 많은데, 그게 자연스러운 거니까 포기하지 않고 계속 하는 게 중요해요. ● SW 진로 로드맵, 인공지능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딱히 치료 방법이 없었던 당뇨병 환자에게는 그나마 이 약이 최선이었다. 이후 안정적인 인공 인슐린이 개발된 1980년대 전까지는 돼지의 인슐린이 당뇨병의 주된 치료제로 사용됐다. 다음은 장기였다. 1960년대부터 돼지를 비롯해 원숭이, 침팬지, 개 등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려는 시도는 ...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봤을 때 위성이 항상 같은 자리에 머무는 것처럼 보아는 궤도. 일부 과학자들은 인공 달이 지구의 야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어요. 이에 중국 하얼빈공학대학교 강 웨이민 교수는 “노을빛 정도의 부드러운 빛이기 때문에 생태계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있는지를 알아내는 센서가 필요해요. 또 문제가 생겼을 땐 새로운 경로를 스스로 만드는 인공지능 기술도 필수랍니다. Q 자율비행 드론 기술 평가대회를 직접 기획하셨다고요? 어떤 대회인가요? 지난 2016년 대전에서 열린 국제지능형로봇학회(IROS)에서처음 열린 뒤, 올해 3회를 맞았어요. 이름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