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하학
기하광학
광학
휘하
예하
d라이브러리
"
기하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똑같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다. 정말로 이것이 가능할지를 이해하려면, 이 과정들을
기하
학적으로 잘 정리해야 하고 또한 가능한 해가 나오는지, 그 해들이 잘 정리가 되는지 검사해야 한다. 먼저 (그림5)를 보자. 상호작용이 있는 문제를 웜홀을 통과하는 당구공으로 취급할 때 스스로 모순이 있는 ... ...
1 기초과학은 현대산업의 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나오는 새로운 제품의 함수관계를(그림)으로 나타내 보았다. 피타고라스 등에 의하여
기하
학이 발달 되던 기원전 그리스 시대에는 새로운 산업제품도 많이 나왔다. 오늘날 자동차의 기어(gear)도 벌써 이때 수레에 이용될 정도였다.그러나 로마시대가 되면서 지식을 등한시하고 도서관을 불태운 결과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것이다. 정사각형의 넓이가 하나의 곡선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일찍이 없었다. 유클리드
기하
학에서 '선분은 폭이 없는 것'이므로 그것이 아무리 모아져도 넓이를 갖는 평면은 만들 수 없는 것이 상식이다.그의 방법은 기발하다. 하나의 정사각형을 같은 크기의 4개의 작은 사각형으로 분할한다(그림1 ... ...
국내 첫 컴퓨터 바이러스 연구소 세운 의학박사 안철수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것은 최근의 컴퓨터 통신 열풍을 염두에 둔 것이다. 통신의 국경이 허물어진 가운데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네트 이용자들에 의해 외국산 바이러스가 대거 유입될 공산이 크다는 그의 설명이다. 이같은 우려는 이미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작년까지 국산 바이러스가 창궐하더니 올해는 ... ...
3 신비스런 5각형·6각형의 조화 풀러렌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여러 가지 원자들이 풀러렌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질의
기하
학적 존재로서 그 전체상의 일부분만이 우리들에게 보여진 것일 뿐이다 ... ...
4 눈결정의 미학은 온도·수증기 합작품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1백46m인 사각추. 높이와 밑변의 비는 이른바 황금비를 이루고 있다.황금비의 성격을
기하
학적으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과 같이 먼저 하나의 직사각형을 그린다(변의 길이 a,b a<b). 그 다음에 긴변 쪽에 한변이 b인 정사각형을 그려붙인다. 다음에도 긴변쪽에 변의 길이가 a+b인 정사각형을 ... ...
1 자연 형태 비밀의 열쇠
기하
학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쳤다.17세기 미적분이 발견되기까지 유클리드가 집대성한
기하
학을 뛰어넘는 새로운 발견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적분조차도 그 중요한 요소는 파이 값을 계산한 아르키메데스가 예견한 것이다.최고의 단순미, 플라톤 입체'플라톤 입체'라는 조금은 엄격해 보이는 이름이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해도 유한개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세계의 수학자들을 놀라게 한 것은 그 증명법이
기하
학적이었고 또한 넓은 응용범위를 갖는다는 것이었다. 페르마 방정식의 양변, 즉 ${x}^{n}$+${y}^{n}$=${z}^{n}$을 ${z}^{n}$으로 나누면 ${x}^{n}$+${y}^{n}$=1의 형이 되고 그것은 x, y평면상의 곡선이다(n=2이면 ...
사라진 문화재 컴퓨터 그래픽으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 기술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3차원 물체의 형상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대상물의
기하
학적 형상이 가진 각 정점의 3차원 좌표를 일일이 계산해 입력해야 했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모양이 같고 크기만 다른 물체의 경우 변수만 수정하면 얼마든지 새로운 물체를 정의할 수 있다.연구팀은 "6층 건물 ... ...
3 팔과 손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갖는 그리퍼는 물체를 파지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종종 물체의
기하
학적 형상에 적합하도록 손가락 끝에 골이나 홈을 파는데, 이런 방법은 다른 형상의 물체를 다룰 때 도리어 제한점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다지 로봇손의 보다 근본적인 특징은 로봇 손 안에서 물체를 섬세하게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