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하학
기하광학
광학
휘하
예하
d라이브러리
"
기하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해도 유한개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세계의 수학자들을 놀라게 한 것은 그 증명법이
기하
학적이었고 또한 넓은 응용범위를 갖는다는 것이었다.페르마 방정식의 양변, 즉 ${X}^{n}$+${Y}^{n}$=${Z}^{n}$을 ${Z}^{n}$으로 나누면 ${X}^{n}$+${Y}^{n}$=1이 되고 그것은 x, y 평면상의 곡선이다(n=2이면 원)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볼 수 있는 산개성단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지만 대체로 관측하기가 쉬운 대상들이고
기하
학적인 모양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집중적으로 관측해 볼만한 대상이다. 다만 관측자 자신이 그때 그때에 따라 적당한 배율을 선택하여 관측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예를 들어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보였던 것이다. 따라서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의 중력장 방정식으로 일체의 시공
기하
학을 설명할 수 있으리라 확신했다. 다시 말하자면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를 풀이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일반상대성이론올 발표한 1년 후인 1917년에 그는 한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 논문은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밝혀내고자 했다.혼돈에 있어서
기하
학은 역학에 추종하는 것이지만, 프랙탈에서는
기하
학이 우위를 점했다. 이는 달리 말해 프랙탈은 혼돈의 형상을 기술하기 위한 새로운 언어를 제공한 것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프랙탈의 기초적인 예가 칸토르집합이다. 이것은 1890년경 칸토르가 고안한 ... ...
지구과학- 도구를 만드는 재료에서 핵연료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흥미의 대상이 되어 왔다. 단결정의 외형 계측이나 현미경 관찰이 시작되어 결정의
기하
학적 이론이 19세기에 완성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스테노의 '면각일정의 법칙'이다.덴마크의 스테노는 산에서 바위틈에 붙어 있는 수정을 채집하여 이 수정이 왜 비슷한 모양을 하며 또 어떻게 만들어진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9천m를 넘는 것도 있고 5천m 높이의 산도 여럿 있음이 밝혀졌다.월면은 보면 볼수록 신
기하
다. 변화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시간가는 줄을 모르게 된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아예 월면 지리학이라는 전문 용어까지 붙여가며 이 분야의 연구에 몰두하고 있기도 하다.달의 마술, 월식하늘의 만달이 ... ...
화학- 같은 원자끼리의 결합 어떻게 가능하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상호 관계될 수 있다고 했다. 그의 정다면체는 물질의 구성원소는 아니지만 물질의
기하
학적 구조로는 가능하다. 메탄분자는 정사면체를 만들고 12개의 붕소원자는 정20면체를 만든다. 그리고 염소 6개로 된 육각형 속에 몰리브덴 6개가 정팔면체로 갇혀 있는 화합물을 만들 수도 있다(그림6)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도전, 밀레바를 뺀 4명이 합격했다. 밀레바는 그 다음 해에도 도전했으나 실패, 공부를 포
기하
고 말았다.당시 아인슈타인의 소박한 꿈은 고등학교 교사가 되는 것. 그 경우 일단 대학의 조교로 남았다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전출되어 가는 것이 관례처럼 돼 있었다. 예를 들어 아라우 주립학교에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기술적 관건이 된다. 현단계에서 스마트재료의 구조에 관한 연구는 진동을 제어하고
기하
학적 형상을 크게 변화시키며 손상을 평가하는 방안 등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목표가 돼 있으며 액추에이터나 센서 시스템의 하나만을 합성하는 차원에 머물고 있다.현재의 스마트구조는 적층판 내에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작아져서 행성표면의 관측은 어렵지만 게자리로 이동해가며 카스토르 폴룩스와 이루는
기하
학적 모습의 변화를 사진에 담아 볼만하다.목성 최고의 관측 적기처녀자리와 함께 떠오르는 목성은 이제 해가 지고나면 이미 동쪽하늘에서 그 자태를 뽐내고 있다. 충분한 밝기와 충분한 크기의 시직경을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