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건너는 험난한 여정을 거쳐 극심한 추위를 막고 마을을 구해냈습니다. 그 길의
끝
에는 뭐가 있었냐고요? 아래에 공개합니다. 스포일러가 있으니 게임을 할 사람은 절대 읽지 마세요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의 만남이 이뤄졌다는 소식에 많은 친구들의 관심이 쏟아졌어요. 치열한 경쟁
끝
에 로봇 공학자를 꿈꾸는 세 팀의 친구들이 선발됐지요. 로멜라 로봇 전시회를 찾은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데니스 홍 교수님께 평소 궁금하던 질문을 던졌어요. “전 동생이 없어요. 미래에는 로봇이 동생이 될 수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쉽게 구할 수 있는 통나무 조각만으로 다리를 만들 아이디어를 냈다. 그는 통나무 양쪽
끝
에 홈을 파서 나무들을 맞물리게 하는 형태로 줄이나 못 없이 안전한 다리를 조립했다. 이 다리는 해체도 쉬웠다. 아군이 모두 건넌 뒤 통나무 몇 개를 빼기만 하면 무너졌다. 반면 그의 후기 작업은 복잡하고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채취하는 과정이다. 그런 뒤 채취봉을 튜브에 넣고 이름을 써 정 이사에게 건넸다. 그게
끝
이었다. 정 이사는 “일주일 뒤에 검사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이 유전자를 분석해서 어떻게 몸 상태를 파악하는지 설명하기 시작했다.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가 완료되면서 사람의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변이 돼 밖으로 배출된다. 변기에 앉아서 물을 내려버리면 나와의 인연은 이걸로
끝
. 하지만 사실 대변의 참된 인생은 이때부터 시작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는 매일 대변을 만나면서도 그다지 친숙하지 않다. 고약한 꼴과 냄새 때문일까.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하루에 수백 만t(톤)의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크기가 명함 정도다. 실제로 전기를 흘려준다는 점에서 전자회로가 맞지만, 회로
끝
에서 세포가 자란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자회로와는 다르다. 유리 기판 위에 새겨놓은 18개 지점에 세포를 넣어 배양시킨 뒤 세포마다 다른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가하고 그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을 분석할 수 있다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잭푸르트는 과일계의 사촌이라고도 할 수 있겠죠? 그런데 극적인 반전은 여기서
끝
이 아닙니다. 방금 속살을 먹기 위해 던져두었던 두리안과 잭푸르트의 껍질. 그 냄새나는 껍질을 다시 가져와 자세히 들여다보세요. 그러면 그 껍질 속에서 맛의 반전을 뛰어넘는 수학적 반전을 발견할 수 있답니다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맞춰놓고 접어보면, 안쪽 종이와 바깥쪽 종이의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서 접고 나면
끝
부분이 정확히 포개지지 않는다. 여러 층으로 이뤄진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도 접을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데, 점착제가 유연하지 않으면 안쪽 디스플레이가 구겨질 수 있다. 또 수십 만 번 접었다 펴는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있다는 겁니다. 김과동, 최기자가 등장할 이 드라마는 한국인이 선호하는 감동 코드로
끝
을 낼 겁니다. 뻔하다고 해도 어쩔 수 없습니다. 실제로 장기이식이라는 큰 수술을 마친 뒤에도 많은 수여자들이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이겨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힘을 주고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관계 참고)를 만족하기 때문이에요. 줄을 꼬기 시작하면 꼬임수가 증가해요. 줄의
끝
을 고정하면 고리수는 절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를 엉키게 만드는 비틀림이 꼬임과 다른 방향으로 많아지는 거예요. 이는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고, 수학적으로도 계산할 수 있어요. DNA는 이 같은 원리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