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위상수학, 느낌 아니까~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컴퓨터 프로그램에 수학이 녹아있는 거예요. 요즘에는 프로그램을 쓰기보다 처음부터 끝까지 코딩으로 작업하는 작가들도 있어요. 이렇게 하면 프로그램에 얽매이지 않고 더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지요. 바람을 만들고 싶으면 바람의 함수를 만드는 식이에요. 저도 그렇게 작업하기 위해 꾸준히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보니 절로 숙연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가우스의 발자취를 따라간 괴팅겐 탐방은 이렇게 끝이 났어요. 수학의 성지 괴팅겐에서 수학을 공부하면 뭔가 색다른 기분이 들지는 않을까요? 기자는 운 좋게 괴팅겐대 수학과에서 유학하고있는 한국인 유학생 최송이 씨를 만날 수 있었어요. 괴팅겐에서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소리가 다른 소리 때문에 갑자기 끊기는 상황이 벌어질 터였다. 1년 가까이 노력한 끝에 돌파구를 찾았다. 여러 악기 소리를 스마트폰이 실시간으로 믹싱하도록 수학식을 만들고 알고리즘을 짠 것이다. 믹싱이란 여러 개의 음원을 하나 또는 다수의 채널로 합성하는 과정이다. 워너원의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발표한 ‘고령 제주 해녀의 행동성 체온조절과 내한내열성의 변화’에 따르면, 손가락 끝의 혈관 확장을 통해 추위를 참는 능력을 검사하는 한랭혈관확장반응(CIVD)에서 고령 해녀군은 20대 도시 여성군보다 생리적으로 더 우수했습니다. 차가운 바닷물에 뛰어들면 몸에서 더욱 많은 열을 내고, 그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얇은 층이 생깁니다. 얇게 편 반죽을 이등변삼각형 모양으로 잘라 돌돌 말은 다음, 양끝을 살짝 구부려 초승달 모양으로 빚으면 완성됩니다. 이렇게 셀 수 없이 많은 층 사이사이에 버터가 발라진 반죽을 오븐에 구우면, 버터는 녹아내리고, 그 사이에 있던 밀가루 반죽이 더 많은 층을 만듭니다.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두 개를 모두 지참해야 들어갈 수 있다. 세포 움직임 동영상처럼 실시간 관측터널은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길게 이어져 있었다. 에벨링 팀장은 “길이가 3.4km에 이른다”고 말했다. 750m인 일본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SACLA)보다 무려 3배 이상 길다.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1km 정도다. 3km가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매미 12종을 모두 관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어요. 그리고 전국 방방곡곡을 바쁘게 다닌 끝에 결국 목표를 이뤘지요. 강원도 평창에서 72시간을 기다려서 세모배매미를 발견한 일 등 잊지 못할 추억들이 많답니다.” 배윤혁 연구원은 내년에도 전국 곳곳을 다니며 매미 탐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클래식음악을 뮤지컬로 만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다른 점이 있어요. 우선 오페라는 16세기 말 이탈리아에서 시작됐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음악이 중심이 되는 공연으로, 감정 표현과 대사도 노래로 이루어져 있지요. 반면 뮤지컬은 음악과 춤, 연극이 모두 담긴 공연이에요. 클래식 음악만으로 이루어진 오페라와 달리, 다양한 음악과 춤을 자유롭게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보는 시야가 훨씬 넓어지는 거예요.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은 40여 년 간의 노력 끝에 마침내 중력파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천체물리학에서 혁명을 이뤘다”고 평가했지요 ... ...
-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전 서해안에서 수상한 새 한 마리가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고 달려왔지. 며칠간의 잠복 수사 끝에 소문의 새를 보게 됐는데…. 그런데 저 새는 우리나라에서는 못 보던 종류네? 대체 정체가 뭘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붉은 깃털이 새우 때문? 홍학의 비밀Part 1. 깃털Part 2. 부리,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