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세상을 구하는 착한 화학을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화학 실험도 소개했어요.“적양상추에 들어 있는 ‘안토시아닌’이라는 붉은 색소를 이용한 실험이에요.”서 매니저님이 지시약을 넣자 식초, 세제 등을 녹인 다양한 용액이 산성도에 따라 색이 변했지요.마지막으로 신 교수님은 우리 주변에 화학이 늘 존재한다며, 어린이들이 화학을 친근하게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재밌고 기발한 의견들이 많았어요. 소행성에 로봇을 보내 착륙시킨 후 로봇의 엔진을 이용해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기, 지구 공전 속도를 빠르게 하기, 소행성에 흰색 페인트를 칠해 궤도 변경시키기 등이었지요. 과학동아천문대 이재형 대장의 총평을 들어볼까요?“저는 이 중 소행성을 밝게 만들어 ... ...
- [그래프 뉴스] 가상현실(VR)로 주사의 아픔은 안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때 아픔과 불안을 덜 느낀 거예요. 연구를 이끈 제프리 골드 박사는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해 주사를 아프지 않게 맞을 수 있다면 병원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어요. [그래프 읽어줌] 주사를 맞을 때 얼마나 아팠는지, 얼마나 불안했는지를 평균 점수로 나타냈어요. 점수가 ... ...
- 도쿄올림픽 여자배구 4강 이끈 숫자대작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경기에 들어오는 것과 그냥 들어오는 것엔 분명한 차이가 있어요. 상대 선수의 큰 키를 이용하라! Q. 박정아 선수가 네트 앞에서 높이 뛰어 상대편으로 공을 세게 내려쳤어요. 그 공이 상대편 네트 앞에서 수비하던 투그바 세노글루 선수의 오른손과 에다 에르뎀 선수 왼손에 비켜 맞고 경기장 ... ...
- [핫이슈] 코로나19, 감염전파율이 나이마다 다르다고?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같은 회사 사람들, 회사가 있는 건물을 다녀간 사람들, 평소 이용하는 식당이나 카페 이용자가 코로나19 접촉자가 되지요. 최근 우리나라 수학자들은 이런 점에 주목했어요. 정은옥 건국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나이대별로 사람을 만나는 접촉패턴이 달라 코로나19 ‘감염전파율’도 서로 다르게 ... ...
- [과학뉴스] 특이점, 사과 모양에도 숨어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똑같은 움푹 들어간 모양이 생겼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부풀어오르는 젤을 이용한 실험으로도 똑같은 결과를 얻었다. 마하데반 교수는 “주변에서 쉽게 보는 물건인 사과에서도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며 “사과 꼭지 주변의 성장을 제한하는 화학 신호를 밝히는 추가 연구가 ... ...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소행성급의 우주선을 발사하기 어려워 실제 실험계획이 세워진 적은 없다. 핵폭탄 등을 이용해 소행성을 아예 파괴하는 방법도 있다. 2018년 NASA에서는 ‘해머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 ‘베누’를 폭파한다는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문 그룹장은 “폭파 방식은 ... ...
-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당신에게 고향의 추억을 바칩니다...윤인순 할머니의 오르골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수 있어야 한다는 긱블의 배려가 엿보이는 부분입니다. 오르골 변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고향의 봄 음원 파일을 오르골용 악보 도안으로 전환했습니다. 찬스 님이 이 도안에 따라 플라스틱판에 구멍을 하나하나 뚫었죠. 악보는 양 끝을 붙여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그래도 ... ...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과학동아 l2021년 11호
- 2017년과 2018년 그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와 ‘독일화학회지’에 유기 촉매를 이용해 광학이성질체 중 단 한 종류의 유기화합물을 합성하는 비대칭합성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광학이성질체는 마치 거울에 비춘 것처럼 좌우대칭을 이룬 두 종류의 구조를 말한다. 합성 과정에서 같은 양이 ... ...
-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사람들이 뭔가를 정확하게 측정할 때나 땅을 작게 나눌 때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수학을 공부할 때 가장 좋은 점은 언제나 깜짝 놀라게 된다는 점이에요. 익숙한 것들도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돼요. 저는 직각삼각형에 대해 모든 걸 알고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