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감자 실험!빨대 하나로 생감자를 뚫는 박진감 넘치는 차력 실험에 이어, 곱게 간 감자를 이용해 변색을 확인하고 감자전을 부쳐 먹는 요리 실험까지! 강판에 감자를 갈기가 쉽지는 않았지만, 다행히 요리가 잘되어 어과동 편집부가 맛있게 감자전을 나눠 먹었답니다~. ●영상 제목신나는 요리 ... ...
- [수콤달콤 연구소의 비법노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입체도형 색칠하고 돌리고 펼치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방법은 실제 물건을 살펴보는 거예요. 만약 물건을 바로 구하기 쉽지 않다면, 컴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답니다. 오늘은 그 중 ‘Poly Pro(폴리 프로)’라는 프로그램으로 전개도를 공부해 봐요. 1. 아래 주소에서 Poly Pro 프로그램을 내려 받아요. 그다음 프로그램을 실행해요. 2. 목록에서 살펴보고 ... ...
-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조직을 ‘텐 링즈’라고 부르게 됐다. 만다린은 신비로운 텐 링즈(여기서는 무기)를 이용해 1000살 넘게 지하 세계의 최강자로 군림해왔다. 열 개의 힘, 단 하나의 운명 악당 만다린은 아이언맨의 오랜 숙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화 ‘아이언맨 1(2008)’에서는 세계적 무기 회사를 이끌던 토니 ...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새로운 물질이 나오고, 이를 관찰해야 하는 물리학 분야에서는 앞으로도 위상 수학을 이용해 재밌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다음에는 어떤 물질에서 위상 수학을 찾아볼 수 있을까요 ...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개의 광원인지 아니면 개별 물체에서 발생한 빛인지 밝히고자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확인했다. 그 결과 광원은 각각의 독립적인 개체일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분석3. 물체의 추정 크기하늘에 떠 있던 광원의 실제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산출하기 위해 당시 육안 관찰된 광원의 직경(폭 ... ...
- [한페이지 뉴스] VR 속 초파리의 ‘워킹’이 밝힌 시각과 보행능력의 관계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시각 정보를 토대로 끊임없이 보행 자세를 수정해야 하는데, 눈을 가리면 시각 정보를 이용한 자세 수정이 힘들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었다. 하지만 이를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에우헤니아 치아페 포르투갈 샹팔리마우드 연구센터 지각운동 통합 그룹 선임연구원팀은 초파리용 가상현실(VR)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잃는 사고가 있다는 것입니다. 머리카락 외에도 등산로에 깔아두는 야자매트 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모두 질기고 엉키기 쉬운 재료입니다. 반면 자연에선 벼와 같은 사초과 식물의 줄기로 벽을 세우는데 이들은 머리카락처럼 엉키지 않고 잘 끊어져 문제가 없습니다.박새 외 조류의 둥지도 사람의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단일 광자를 만드는 데도 단일 광자 주파수 빗 기술이 쓰인다. 단일 광자 주파수 빗을 이용하면 아직 풀리지 않고 남은 양자역학의 난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령 서로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상호 간에 영향을 주는 현상인 비국소성이나 물리적인 원인과 관련 없이 ... ...
- [특집] 온라인 수업을 메타버스에서 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마인크래프트에 방문하셔서 만남의 시간을 가지기도 했답니다. Q마인크래프트를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몰입할 수 있는 게 큰 장점이에요. 저는 체험하는 수업과 표현하는 수업으로 나눠서 진행하는데요, 예를 들어 수학 시간에 1km가 얼마나 긴지를 마인크래프트에서 간접 체험하는 수업을 ... ...
- [가상 인터뷰] 중생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가 25억 마리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가장 큰 파충류인 코모도 도마뱀과 최상위 육식 포식자인 사자 등 동물들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티라노사우루스가 100km2당 1마리 살았을 것으로 추정했지.그걸로 어떻게 계산하면 되는데? 북미 대륙 서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의 서식지 넓이는 약 230만km2이므로, 북미 대륙에는 한 시점에 2만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