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d라이브러리
"
이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Fun] 수학과 과학은 답을 알고 있다? 천만의 말씀!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난제’다.어디 이뿐이랴. 이 세상은 아직도 미해결 문제로 가득 차 있다. 예컨대, 뉴턴
이전
에 만들어진 권총은 ‘대충’ 목표를 맞출 수 있게 만들어졌다. 탄도학이 아직 정립되지 않아 엄밀한 계산에 따라 권총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물리학이 권총을 만드는 데 정답을 주지 못했다는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철은 탄소 강화 섬유와 함께 가장 중요한 소재로 각광 받고 있다. 제철소에서는
이전
까지 사용되지 않던 저급 광석과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넣어 철강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 이를 가능하게 해 준 것은 미분탄(입자 크기가 0.5mm 이하의 아주 잔 가루로 된 석탄) 고압 연소 기술이다. 이 기술은 원래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식사를 하기 전보다 생각하는 힘이 더 생기죠. 따라서 아침식사 후 수학 문제를 풀면
이전
보다 더 좋은 점수가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점수가 50점이었던 친구가 아침을 먹는다고 해서 갑자기 100점을 맞는 기적은 일어나지 않죠. 그래도 분명한 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 ...
[생활] 사물과 대화하는 세상, 사물인터넷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연결해 어떤 능력을 높일 수는 있다. 이미 우리는 일상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이전
까지는 불가능했던 일을 하고 있다. 버스를 놓친 후 다음 버스가 언제 올지 알 수 있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오면 소프트웨어가 순식간에 자동으로 인터넷을 검색하고 스팸 번호인지 아닌지 알려 준다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가장 큰 힘이다.보편중력 법칙은 수학이 과학의 언어로 자리 잡는 초석이 된다. 뉴턴
이전
까진 과학은 정성적인 표현으로 이뤄져 있었다. 모든 것을 숫자로 표현하는 오늘날의 과학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다. 수학의 힘은 놀라웠다. 뉴턴은 당시 과학계의 뜨거운 감자였던 타원궤도 증명 문제를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감자칩보다 덜 짠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강렬한 맛을 위해 나트륨과 당 함량을 더 높였다.
이전
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나가던 감자칩과 비교했을 때 당은 물론 지방과 나트륨이 더 많다. 물론 구할 수 있어야 주의할 수도 있겠지만. 컴퓨터가 만든 성형 미인 프링글스감자를 통으로 써는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어떻게 바뀌는지 평균을 내서 그래프 그려 살펴본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1920년대
이전
자료는 여자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경우가 드물어 분석하지 못했다.분석 결과 재미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어떤 이름이 처음 나타나 조금씩 쓰이기 시작한다. 30년 뒤부터는 급격히 늘어나다가 50년 뒤쯤에 ... ...
[과학뉴스] 7000광년 밖 별의 요람이 눈앞에!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25주년을 기념해 더 선명한 사진을 찍어 공개했다.가시광선으로 찍은 사진은
이전
보다 선명하고 넓다(오른쪽). 적외선으로 찍은 사진도 공개했는데, 더 많은 별이 보이고, 기둥 주변의 빛도 보다 선명하다(아래). NASA는 별의 일생 중 극히 잠깐인, 눈 깜빡할 순간의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봐야 해요.턱은 17세가 될 때까지 계속 자라요. 그래서 턱뼈가 단단하게 완성되는 17세
이전
에 올바른 턱 습관을 들여야 해요. 성장기 때 잘못된 습관을 들이면 턱이 심각하게 비뚤어지거나, 위아래 턱이 맞지 않는 부정교합을 비롯한 턱관절 질환이 생길 수 있어요. 음식을 먹거나 발음하는 데 ... ...
가장 깊은 곳에 사는 물고기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더 깊은 곳에서도 물고기가 산다는 사실을 알게 된 거예요.이번에 발견된 물고기는
이전
에 발견된 심해어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어서 연구팀을 놀라게 했어요. 우선 매우 흐느적거리는 몸을 하고 있어서 마치 화장지가 물속에서 떠다니는 것처럼 보여요. 지느러미는 넓게 퍼져 날개처럼 보이고,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