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d라이브러리
"
이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정신’을 갖추는 게 중요한 시대”라며 “선배 기업가에게 멘토링 받으면서 창업
이전
부터 기업가 정신을 배울 수 있는 게 이 프로그램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박성진 센터장은 “지금 당장은 실패하더라도 벤처창업을 경험해보는 것 자체가 학생들에겐 아주 큰 소득일 것”이라며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거슬러 올라간다.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전
의 인류처럼 눈두덩이 두텁긴 하지만 호모 에렉투스보다는 갸름해 보인다. 하지만 이는 눈두덩이 정말 갸름해져서가 아니다. 네안데르탈인이 워낙 큰 두뇌(현생 인류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컸다)를 가지고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오는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태양권계면은 한 번에 그냥 통과할 수 없다. 그보다 30~40AU
이전
에 이미 태양풍의 속도가 크게 떨어지는 순간이 온다. 태양에서 방출될 때는 초속 약 400km의 속도였는데, 이 속도가 소리의 속도(아(亞)진공 상태에서 초속 100km) 이하로 떨어지면 마치 비행기가 아음속에서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영조 시대와는 400년이나 차이가 난다. 모내기는 왜 이렇게 늦게 전파됐을까?모내기
이전
에는 직파법으로 벼농사를 지었다. 밭에 씨앗을 바로 뿌려 벼를 키우는 방식이다. 반면 모내기는 ‘못자리’라는 조그마한 판에 볍씨를 뿌리고, 볍씨가 자라 모가 되면 논에 옮겨 심는다. 모내기는 직파법에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생물자원을 가진 나라와 그 자원을 이용해 돈을 번 나라가 이익을 나누는 제도다.
이전
까지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생물자원을 독점 개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생물종을 잉태한 땅에 '저작권'을 부여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덩달아 신종헌터의 발걸음도 분주해졌다. "우리나라는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9시 30분에 시작하고, 회사는 ‘9 to 6’,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한다. 오직 학교만 9시
이전
에 가야하는 셈이다. 8시 반까지 등교하던 수많은 학생들이 아침에 최소 30분 여유가 생겼다. 이 여유가 얼마나 큰지 경험해 본 사람은 다 안다.아침이 여유로우면 하루가 편안하다9시 등교가 시작된 지 약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비즈니스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사업에도 선정됐다. 지금은 유럽 등 해외로 기술을
이전
하기 위해 해외 건설 업체 등을 물색하는 중이다. 최 대표는 “발명품을 사업화할 때 전문가와 의논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발명은 생각으로 출발해 상품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언어학 연구와는 완전히 다른 사고방식으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촘스키
이전
의 언어 연구는 언어마다 겉으로 드러나는 구조를 연구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그에 반해 촘스키는 모든 언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보편적인 언어의 규칙을 찾고자 했다. 그러려면 가장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200종 이상의 품종이 새롭게 만들어진답니다. 18세기 이후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져 18세기
이전
의 장미를 고대장미, 이후를 현대장미라고 구분하기도 해요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갈라져 세포 수가 늘어나는 세포분열을 거쳐 배아가 돼요. 사람으로 치면 임신 8주
이전
까지를 배아라고 하지요.그리고 사람처럼 좌우 대칭인 동물들은 배아 초기에 3개의 세포층이 생겨요. 가장 바깥에 있는 세포층을 외배엽, 안에 있는 세포층을 내배엽, 외배엽과 내배엽의 중간에 있는 세포층을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