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관모양이 됩니다. 관은 이내 외배엽에서 떨어져 나와 신경관으로 발달하는데요. 이것이 결국 뇌와 척수가 됩니다.신경관 발달… 엽산 섭취가 중요?U자 모양의 신경고랑이 동그란 관의 형태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신경주름 세포들 사이에서 벨크로(찍찍이) 또는 지퍼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아주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곳으로 날아갔다. 그녀는 입가를 찡그리면서 다른 인형을 노렸고, 여섯 번을 시도한 끝에 결국 명중시켰다.“좋았어! 어제는 하나도 못 맞췄는데 이제 적응했나봐. 아저씨, 인형 주세요.”노마는 선반 아랫부분을 열고 제니가 맞춘 것과 똑같은 해바라기 인형을 꺼내 주었다. 제니는 선반 위에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우림, 8000년 전 원주민들이 키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팀은 아마존에 사람들이 마을을 만들고 살면서 몇몇 종의 나무를 더 많이 심었고, 결국 아마존에서 우세한 나무종이 된 거라 추정했어요.연구에 참여한 미국 시카고필드박물관 니겔 피트만 연구원은 “85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앞으로 아마존에 살고 있는 1만 6000종의 나무가 어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상대적으로 뱃속에 있는 대장의 압력이 커져요. 그럼 대장 속 기체의 부피가 커지지요. 결국 대장이 커진 기체의 부피를 견디지 못하고 항문 밖으로 자꾸 방귀를 내보내는 거랍니다.“귀가 아픈 이유는 기내 압력이 갑자기 변했기 때문이야!”시원이가 아픈 귀를 잡고 소리를 질렀어요. 그러자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2편에서는 가히 엄청난 능력을 가진 데비 존스에게 쫓기며 고생이란 고생은 다 한다. 결국 데비 존스의 애완괴물 크라켄에게 잡아먹히고 블랙 펄과 함께 데비 존스의 저승에 갇힌다.우연인지 필연인지 모르지만 잭은 숙적 바르보사의 도움으로 데비 존스의 저승에서 탈출한다. 그렇게 바르보사와 ... ...
- 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치는 급격하게 떨어졌다. 헝가리 정부는 20,000,000,000,000,000,000,000,000,000펭괴를 발행했고 결국 펭괴는 포린트로 대체됐다. 전쟁의 결과는 이처럼 참혹하다.그러나 지금도 세계 각국은 무기 개발을 하고 있다.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군사기관 입장에서 전쟁 대비는 피할 수도 없는 일이다.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먹는 것만큼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들이 속속 나오면서 재검토를 하게 된 것이다. 결국 NAM은 ‘소금을 5.8g보다 적게 먹어야 건강에 좋다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NAM으로서는 기존 입장을 뒤집어야 하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소금 섭취, 정말 ‘과유불급’일까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무임승차’를 하는 클론이 경쟁에서 생산자 클론을 이긴다면 공유자원은 사라지고, 결국 전체 암 군집도 약해진다. 상리공생은 둘 이상의 클론이 협력해 전체 암 군집에 이득이 되는 인자를 생산하거나 자원을 획득하는 작용이다. 종양내이질성을 크게 만들어 전체 암 군집의 생존력을 높인다.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실패의 연속이에요. 1년에 수학자가 논문을 몇 편이나 쓰겠어요. 많아야 1~2편이거든요. 결국 1년에 한두 번만 성공을 했다는 뜻이에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만이 수학을 잘 할 수 있어요.또 문제를 맞혔는지 틀렸는지 결과만 따지는데, 사실은 맞은 문제도 왜 맞았는지 아는 게 중요해요.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6일과 18일이 가장 적합합니다.” 결국 아이젠하워 장군은 6월 6일을 ‘D-데이’로 정했고, 결국 승리를 거뒀다.기상예보장교가 자신 있게 6월을 추천한 이유는 유럽의 기후와 관련이 있다. 유럽은 겨울과 봄에 강력한 아이슬란드 저기압의 발달과 시베리아 고기압의 발달로 바람이 강하게 불고 폭풍이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