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하기 때문에 자릿수의 조합마다 짝수가 되는 수를 넣어 여러 개의 해밍부호가 붙는다. 결국 해밍부호를 써서 메시지를 보냈을 때 2진수의 합이 홀수면 오류가 있다는 뜻이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즐거운 퍼즐 파티 매스잼Part 1. 웰컴 투 매스잼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Part 3.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은나노입자를 번역하면 난쟁이 탄소관, 난쟁이 은입자 정도로 부를 수 있다. 결국 나노기술이란 원하는 형태의 난쟁이 물질들을 만들거나, 물질을 구성하는 난쟁이들인 원자와 분자를 의도한대로 조절하는 기술을 말한다. 어떻게 과학자들은 이런 난쟁이들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걸까. 과학자들이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로 돌아가 이 사태를 막으려 해봤지만 소용이 없었다. 누군가가 결국 신을 만들었고 인간들은 그 속으로 사라졌다. 신들은 과거 인간들의 방문을 허락하지 않았기에 미래로의 시간 여행은 늘 벽에 막힐 수 밖에 없었다.미나는 계속 과거로 달아났다. 아니, 과거들이다. 각각의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헌재 판결문처럼 써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선고문에서 유추하건대, 흥미진진함이란 결국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온다. 이석원 서울대 음악학과 교수는 저서 ‘음악하는 뇌’에서 “새 정보를 접할 때 흥미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놀라움, 새로움, 변화, 복잡성, 모호성을 든다”며 “음악과 ... ...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역설은 ‘무한 번 시도했을 때 결국 패할 확률이 아주 높은 두 가지 게임을 교대로 하면 결국 게임에서 이길 수 있다’는 내용이다.인생의 정답은 없다컴퓨터가 사람의 생각과 습관을 파악하는 수준이 되면 이런 게임이 등장할지 모른다. 게임 서버에 접속하면 컴퓨터가 조종하는 캐릭터가 상자 A와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경우도 마찬가지랍니다. 10여명의 의사를 찾아다녀도 병명을 알아내지 못해서 결국 RG에 도움을 요청했답니다. 2015년 RG에서 다나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PACS-1 신드롬’이라는 진단을 받을 수 있었지요. 다나는 더 이상 병명을 알아내기 위해 새로운 병원을 찾아다닐 필요가 없어졌어요.로버트나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괜찮다고 말한다. 하지만 김형수 박사는 “카페인을 흡수하는 속도가 달라질 뿐이지 결국 결과는 비슷하다”고 말했다. 약을 먹을 때는 커피와 차 모두 웬만하면 피하는 게 좋다는 얘기다. 3. 장기 복용 환자라면 음식과의 케미 알아야전문가들은 어쩌다가 두통이나 감기로 단기간 약을 먹는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결국 그 물질의 근원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물질을 영원히 계속 쪼갤 수 있다면 결국 아무 것도 남지 않을 테니 언젠가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단위에 다다를 것이다. 이때 우리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의미의 멋진 단어, ‘원자(Atom)’와 마주하게 된다.그리스 철인들의 꿈을 이룬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백인 학교에 다니도록 허가를 받은 뒤에야 겨우 엔지니어가 될 수 있었다. 그런 메리도 결국에는 자신이 좋아하던 엔지니어직을 버리고 여성과 소수자를 양성하는 직책으로 자리를 옮긴다. 고위 기술직으로 승진하는 데 장벽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예컨대 연구진이 인맥을 쌓기 위해 사용하던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즉 친족에 대한 사랑은 비친족에 대한 증오를 뜻한다는 것도 알아차렸는가? 인간은 결국 유전자의 노예란 말인가? 정말 그렇다면, 인류에게 희망은 없는 것인가?프라이스는 망치로 얻어 맞은 듯한 느낌이었다. 해밀턴의 계산이 맞는지 직접 확인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물론 그러자면, 유전학을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