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열"(으)로 총 1,5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연변이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돌연변이는 괴물이 아니다. 돌연변이는 단지 유전자의 염기배열이 '흔한 것들'(야생형)과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돌연변이에 대한 분석은 생물학과 유전공학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열쇠를 제공할 것이다.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서로 상이한 자리에서 재결합됨으로써 이상 염색체를 만들고, 이상 염색체 내의 유전자 배열 구성상태의 잘못은 유전적 명령의 이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의 결과로 세포가 염색체 이상으로 죽어버리는 경우가 더 많기는 하다. 달리 말해 세포가 죽지 않고 살아 났을 때 ...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어렵게 될 것이다. 이 문제를 유전자공학으로 해결하고 있다.인슐린의 구조와 아미노산 배열 순서는 완전하게 알려져 있으므로 사람의 이자에서 인슐린 합성을 지령하는 유전자(DNA)를 분리해낼 수 있다. 이 DNA를 플라스미드에 결합시키고 그것을 대장균에 넣어 대장균이 사람의 인슐린을 만들게 ...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난해한 난수표도 숙련된 암호 전문가에 의해 결국 풀리는 것처럼 방대한 염기암호 중 배열상 어떤 특징이 있는 부분들을 모으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조유전자와 조절유전자, 그리고 또다른 기능을 가진 DNA로 분류해 그 특징과 기능을 밝혀낼 것이다.시간과 경비가 많이 드는 게놈 프로젝트와 ... ...
- 하수오물에서 건축자재 뽑아낸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액체화한 뒤 냉각하여 고정화할 때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식히면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므로 결정질이 되고 급속하게 식히면 무정형의 유리질이 된다. 결정질의 비율이 높을 수록 물질의 물성은 강해진다.자연에서 얻는 것보다 물성이 더 뛰어난 돌로 바꾸어간다는 연금술과도 같은 기술은 어떤 ...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발달에 힘입어 HBs Ag에 대응하는 유전자 구조가 밝혀지게 되었다. 또한 유전자 구조나 배열을 알면 유전자를 서열에 따라 단백질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HBs Ag을 대량으로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즉, 유전자재조합(recombinant DNA)기술이 간염백신개발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만든 것이다.HBs ...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상대와 결합하므로 한쪽 사슬의 염기배열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다른 쪽 사슬의 염기배열이 결정된다. 한쪽 사슬이 다른 쪽 사슬의 주형(鑄型)이 되는 셈이다. 따라서 DNA의 이중나선이 풀려 두 가닥의 사슬형태로 되면 각 사술을 주형으로 하여 새로운 DNA 사슬이 합성되므로 DNA 분자가 복제된다.DNA ...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발전은 바이러스 변이의 물리적 실태를 명확하게 했다. 이는 유전자를 만드는 염기배열의 극히 일부가 변화하는 것에 불과하지만, 시간축에 의해 본다면 '진화'라고 하는 큰 무기를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한편 당초 바이러스 그 자체가 어디에서 왔는가를 생각해보면, 지구상에 생물이 ... ...
- 자지복, 사람 유전자연구에 큰 역할할 듯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적으면 적을수록 연구하기에 유리하다. 더욱이 자지복의 유전자는 의미없는 염기 배열이 아주 적어 연구 대상으로는 매우 적격이다"고 말하면서 "자지복은 처음부터 여분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아 척추동물 유전자의 원래 모습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며 자지복이 실험동물로서 매우 적절함을 ... ...
- 생활속의 '순간벼락' 정전기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다른 극성이 나타난다.모피-유리-운모-비단-면-목재-플라스틱-금속-황-에보나이트의 대전배열(帶電配列)에서 열의 앞에 있는 물질과 뒤에 있는 물질을 마찰시키면 앞의 것은 플러스, 뒤의 것은 마이너스의 대전을 보인다. 물건이 접촉하면 전하가 이동해 전기를 띠는데, 이 전기가 흘러서 소멸되지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