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d라이브러리
"
배열
"(으)로 총 1,5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프로그램의 특징에 따라 각종 부가기능들도 제공되고 있다.사임당의 경우 적당히 숫자를
배열
한 후 그래프 명령을 내리면 몇가지 정리된 형태의 그래프를 문서중에 삽입시켜 준다. 아직까지는 완성된 그래프를 편집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다소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하겠지만 업무용으로 ... ...
시각인식의 알파벳을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표면에서 깊은 곳까지 수직방향으로 비슷한 패턴에 반응하는 세포가 마치 기둥과 같이
배열
된다고 할 수 있다.한 기둥의 단면적은 0.16mm. IT의 표면적이 3백30mm이니까 IT에는 약 2천개의 기둥이 존재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이 2천개의 기둥이 인식하는 그림의 패턴에 따라 서로 조합을 달리 한다고 할 수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목성을 보는 사람에게는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다.목성관측 때 적도대를 따라 일렬로
배열
돼 있는 갈릴레오위성(목성의 4대 위성, 이오에우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의 움직임을 관찰하면,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확인되면 영현상을 예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공전주기가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부분의 가공상태를 보고도 대체로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모든 조정 손잡이가 불편하게
배열
돼 엉키지 않고 양손에 쉽게 들어오면 좋다.□ 흔들거림은 없는가?가볍게 두드린후 1~2초 이내에 진동이 멈추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이 떨릴 가능성이 크다. 상하좌우로 흔들어 보았을 때 끄덕거림이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망원경에서 저배율의 접안렌즈를 끼고 보면 시야를 꽉메운 별들이 곡면과 열을 지어
배열
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메시아는 1764년 8월 30일 이 성단을 관측하고 "카스토르의 왼발 근처에 있는 매우 작은 별들의 집단. 쌍둥이 자리 뮤별과 에타별에서 조금 떨어져 있다" 라고 기록했고 1770년의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의 입자크기 감소, 점토와 같은 2차광물의 형성, 토양입자의 재
배열
에 의한 토양구조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그리고 토양내에서의 이동현상으로는 아래로 혹은 옆으로 흐르는 토양수의 이동에 따른 점토와 유기물의 이동과 식물에 의한 영양염류(營養鹽類, nutrient)의 순환,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큰 생동감 있는 성운"이라고 표현했다. 웹은 "고상한 성단들이 기울어진 십자가 모양으로
배열
되어 있고, 각 팔들에는 별들의 커다란 쌍이 있고 중심에 밝은 별들이 있는 훌륭한 이웃"이라고 이 성단을 표현하고 있다 ... ...
새 생명의 요람, 겨울눈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는데 이것을 관속흔(管束痕)이라고 한다. 관속흔의 수는 1~30개이며 관속흔의 수와
배열
은 식물을 식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두릅나무 종류가 관속흔이 가장 많으며 그 모양도 뚜렷하고 어떤 나무는 관속흔이 있는 둥 마는 둥 한 것도 있다.줄기 표면에 있는 불규칙한 점을 피목(皮目)이라고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리고 이족보행의 발자국과는 달리 발자국들이 보행양식과 속도에 따라 매우 다르게
배열
돼 판단이 쉽지 않다. 특기할 것은 이들 여러 종류의 발자국들이 같은 퇴적분지에서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나라에서는 이들이 서로 배타적으로 따로따로 나타나는 사실과 대조적이다. 그리고 대개의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른 3차원 집적화를 위한 새로운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단결정 기판에 전자회로를 평면
배열
한 후 이를 수μ 정도의 얇은 단결정의 막(膜)으로 만들어 적층하는 것이다. 즉 2μ 두께의 박막을 1㎜까지 적충하면 5백배에 가까운 집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1GD램 기억소자를 수직 집적하여 5백GD램의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