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이의 유전 정보 차이를 나타낸 값을 비교해, 특정 생김새가 유전자의 무작위성과 자연선택 중 어느 쪽에 영향을 많이 받았는지 추론하는 유전통계학 분석 방법. 연구를 이끈 아슬란 자이디는 “우리 연구는 일부 코 모양이 기후의 영향을 받았음을 뒷받침한다”며, “그러나 진화는 매우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김영호 고려대 지리교육과 교수팀은 2001~2014년 말라리아가 발생한 공간의 분포를 분석해, 자연환경(평균기온, 강수일수, 총 강수량, 논의 비율)뿐 아니라 지역의 가축 수(소 사육두수), 표준공시지가, 성비, 아파트 비율, 군사분계선과의 거리 등 사회적 환경이 말라리아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다른 ‘쌍둥이 원소’를 말한다. 신원 확인에 사용되는 동위원소는 스트론튬(Sr)으로 자연에서는 스트론튬-84, 86, 87, 88 등 4개의 안정동 위원소가 존재한다. 이중 치아나 뼈에 축적된 스트론튬-87과 스트론튬-86 동위원소의 비를 통해 생전 섭취했던 음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정창식 KBSI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다. 뭐 이런 걸 다 시비 거냐고 할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자연이 실재적인가 하는 철학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자. 벨 부등식 실험의 허점 ‘선택의 자유’2015년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연구진은 허점이 없는 벨 부등식 실험에 성공했다는 ... ...
- 연필과 수학의 필연적 만남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용해 연필심을 만들었는지 알 수 없지만, 처음 사용한 사람은 스위스의 내과의 사이자 자연학자였던 콘라트 게스너입니다. 평소 필기구에 관심이 많았던 게스너는 1565년에 발간한 화석에 관한 책에서 흑연을 나무로 둘러싼 필기구를 그렸는데, 그것이 요즘 사용하는 흑연 연필의 시초입니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극작가나 음악가, 철학자 같은 문화 연사를 초빙해 강연을 한다. 또, 과학반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같은 곳으로 견학을 가 직접 눈으로 보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신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요즘 기초에 집중하고 있는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 철학은 ... ...
-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형성돼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염됐다. 이 교수는 “예방 접종 이후 항원에 노출되는 ‘자연 접종 효과’가 없어지면서 면역력이 떨어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홍역이 박멸되지 않았던 과거에는 홍역 예방 접종을 한 뒤에도 홍역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생기고, 이때 항체가 재생성 되면서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경이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과 그 경이로움을 나누고 싶은 마음이 자연스레 생기지요.”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소통하는 과학자’로는 국내에서 가장 유명하다. 대중에게 과학의 어려운 이론을 이해시키려하기 보다는 과학의 경이로움을 소통한다. 그는 ... ...
- [과학뉴스] 호박 속에 갇힌 개구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보이지만, 이 개구리의 나이는 무려 9000만 년이 넘었다.데이비드 블랙번 미국 플로리다자연사박물관 학예사팀은 미얀마 북부에서 발견된 호박 속에서 약 1억 년 전 열대림에 살았던 멸종 개구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 호박 안에 갇힌 개구리는 980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15년 기준 1인당 420개 정도다. 4개인 핀란드(2010년 기준)의 100배가 넘는다. 비닐은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 100년 이상 걸린다. 크리스토퍼 호위 영국 케임브리지대 생화학과 교수팀은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가 비닐봉지를 먹은 뒤 분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7년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