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달리 높은 주파수(고음)일수록 크기가 작다. 그래서 낮은 주파수(저음)의 소리는 크다. 자연이 만들어내는 무작위한 소리인 백색소음은 난수생성에 이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 소리를 담은 영상도 있고,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있다더라. 어쩐지 바닷가의 파도가 부서지는 소리, 창밖에 내리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양분을 먹고 유기물을 만드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혼자서도 살 수 있답니다.박테리아는 자연이나 다른 생물의 몸 등 지구 곳곳에 살며 음식을 발효시키거나 상하게 할 수 있어요. 또 죽은 동물과 낙엽을 작게 분해하는 역할도 하지요. 결핵균과 파상풍균, 대장균 등은 사람의 장이나 위 등 에 살면서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KISTI는 향후 이 시스템을 자연재해 예측 시스템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조 센터장은 “자연 재해 발생 자체를 막을 수는 없지만, 발생 시기와 규모를 미리 안다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피해 규모와 사후 복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슈퍼컴퓨터는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최적의 도구로,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붙는다. 초고화질(UHD) TV용 고성능 이미지 센서 제작에도 활용할 수 있다. 무기 반도체는 자연광을 통째로 흡수하는 만큼 카메라에 컬러 필터를 별도로 장착해 RGB(적·녹·청) 색상을 구분해야 한다. 하지만 유기 반도체는 파장에 따라 RGB를 각각 흡수하는 방식이다. 카메라 렌즈가 얇아져 신호 처리가 ... ...
- [별난이름정리] 맥너겟 수수학동아 l2018년 05호
- 5, 7, 8, 10, 11, 13, 14, 16, 17, 19, 22, 23, 25, 28, 31, 34, 37, 43을 제외하고요. 나열한 수 이외의 모든 자연수는 맥너겟 상자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는 뜻이고, 이 수를 맥너겟 수라고 합니다. 그리고 맥너겟 수가 아닌 가장 큰 수 43이 바로 서로소인 세 수 6, 9, 20의 프로베니우스의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무성해야 해요. 바다 식물인 해조류는 포자로 번식하는데, 인공어초는 이 포자가 자연암반에 잘 붙을 수 있게 유도합니다. 그런데 인공어초는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또 만든 뒤에는 어떻게 설치해야 할까요? 이 답을 찾으려면 해양물리학, 토목공학, 생물학, 유체역학 같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열로 시키세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따르면 피보나치 수를 활용해서 모든 자연수를 나타낼 수 있어요. 제켄도르프 정리모든 자연수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지 않는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유일하다. 제켄도르프 정리를 이해하기 위해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100을 피보나치 수로 분해한다고 해봐요. 그러면 100=89+8+3, 10 ...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추이를 알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앤 융블루트 영국 자연사박물관 박사팀은 스콧 원정대가 로스 섬과 맥머도 빙붕에서 수집한 표본에 남아있는 남세균 덩어리들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분광 분석법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덩어리 7개에서 남세균이 생성하는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흥미를 일깨워준 생체모방기술을 연구하는 것이다. 김 씨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을 적용해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교과서 밖 내용도 궁금하면 스스로 공부_18학번 변재혁일반고인 대구 경원고를 졸업한 변재혁 씨는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분석한 뒤, 이를 컴퓨터의 언어로 바꿔 구현하고 자동화하는 과정을 통해 세 분야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거대 소수 찾기 프로젝트를 한 예로 들었다. 소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아직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소수를 찾는 프로젝트로, 수학과 SW의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