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보증
확증
검증
확인
논증
d라이브러리
"
증명
"(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암호’(Vernam Cipher)다. 수학적으로 키 없이 이 암호를 해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증명
됐다. 이 암호의 문제점은 원래 정보와 길이가 똑같은 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그래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쓰지 않는다.또 풀 수 없는 암호로 유명한 것이 양자암호다. 양자 키를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장치입니다. 튜링 기계로 정지 문제를 풀 수 있는 일반적인 알고리듬이 없다는 사실을
증명
했어요. 어떤 경우에는 튜링 기계가 영원히 돌아갈지 아닐지 알 수 없다는 거지요. 정지 문제는 결정 문제이므로 결국 결정 가능하지 않은 문제도 있다는 소리예요. 따라서 힐베르트의 주장도 틀렸다는…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무사귀환까지 이끌어 냈다. 초정밀 유도기술과 탄도 재돌입 기술을 확보한 것을 스스로
증명
한 셈이다.핵보유국 지위를 갖고 있는 중국도 21세기 들어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자금줄이 트이면서 군비 확장에도 열심이다. 5대 핵 강국(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국) 중 유일하게 중국만이 ICBM이나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거짓을 결정할 수 없지만, 인간은 이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보였다. 튜링의
증명
에 따른다면 컴퓨터는 절대로 인간처럼 생각할 수 없는 것일까.[보캉송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기계 오리. 비슷한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동물이나 사람과 똑같은 자동 기계를 만드는 데 관심을 가졌다.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해양지각이 형성된 것이 동해라는 것이다.그러나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설명도 완벽하게
증명
하려면 해저 지각을 15km 이상 뚫어봐야 한다. 맨틀층에 가까운 정도로 해저 지반을 뚫어서 조사해 봐야 동해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km 깊이는 아직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끝내 열역학 제2법칙을 파괴하진 못했다. 맥스웰의 악마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증명
으로는 1929년 헝가리 출신 물리학자 레오 질라르트가 제기한 설명이 가장 유명하다. 그의 설명은 이렇다. 마의 눈을 가진 악마가 분자를 관찰한다는 것은 악마와 분자가 빛을 주고 받는 등 상호작용을 한다는 ... ...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처해 있다’는 뜻이다.하딘은 ‘목동게임’을 이용해 공유지의 비극을 수학적으로
증명
했다. 어떤 마을에 100마리의 소를 기를 수 있는 마을 공동의 땅이 있다고 하자. 마을의 모든 농가는 이 곳에서 소를 기를 수 있다. 이 때 각 농가는 자신의 소를 이 공유지에서 가능한 많이 키우려 할 것이다.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홀 문제’다. 선택을 바꾸는 것이 이론적으로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수학자들의
증명
으로 화제가 됐었다.백설공주가 수학을 잘 알았더라면 어땠을까? 비겁하게 마법으로 자신을 괴롭히는 왕비를 쉽게 물리치고 조금 더 일찍 왕국을 되찾았을지도 모른다 ... ...
언터처블 : 5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이
증명
되면 5에 대한 추측도 밝힐 수 있다.여기서 잠깐! ‘골드바흐의 추측’과 ‘불가촉 수 중 5가 유일한 홀수’라는 추측의 관련성을 생각해 보자. 만약 골드바흐의 추측이 참이라면, 2보다 큰 짝수 2k는 두 소수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는 오리가미를 수학의 눈으로 기존의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린 선구자로 불린다. 그가
증명
하고 발견한 종이접기에 관한 수학과 공학 이론은 종이접기의 한계를 넘어섰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랭 박사의 작품 ‘나비’의 제작 과정을 자세히 살펴 보자! 특별인터뷰로버트 제이 랭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