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보증
확증
검증
확인
논증
d라이브러리
"
증명
"(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 없이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선택적 주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이 일본의 사와구치 교수의 침팬지 대상 실험에서
증명
됐다. 따라서 노르아드레날린의 작용이 잘못된다면 전두 연합령의 선택적 기능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감정 제어 기능에는 세로토닌이 작용한다. 세로토닌은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로 대뇌변연계에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먹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이실험으로 동물도 실수와 반복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
됐다. 이후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인 벌허스 스키너는 동물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스스로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예를 들어 개가 주인 앞에 앉을 때 주인이 먹이를 주면 그 이후로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H5N1이 다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도움 없이도 높은 전염성을 새로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
해냈다. 이 바이러스가 ‘괴물’이 되는데는 두 개의 유전자 속에 일어난, 고작 다섯 개의 돌연변이만이 필요했다.푸히르 교수는 먼저 H5N1 바이러스의 유전자에 3개의 돌연변이를 일으켰다. 조류의 세포를 ... ...
정답이 하나뿐인 스도쿠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때 정답이 하나인 문제는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수학자들의 오랜 숙제였던 이 문제를
증명
한 맥과이어 교수는 “이 연구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스도쿠 문제뿐만 아니라,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몸을 왼쪽으로 기울이면 에펠탑이 작아 보인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구팀은 몸을 한쪽으로 기울어뜨려도 같은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추측했다.이를
증명
하기 위해 연구팀은 33명을 대상으로 닌텐도 위(wii)의 균형판을 한쪽으로 기울게 조작한 다음, 그 위에서 숫자로 대답해야 하는 질문에 답하게 했다. 에펠탑의 높이와 마이클잭슨의 노래가 네덜란드에서 몇 번 ... ...
수학이 있어 더욱 특별하다! 우표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냈답니다.우표로 만나는 수학의 역사우표는 우편물을 보낼 때 필요한 요금을 냈다는 걸
증명
하기 위해 정부의 기관에서 발행하는 증표예요. 오늘날에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인물이나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김연아 선수나 뽀로로가 우표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죠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자연수가 무한히 많은 수들로 이루어져 있듯, 소수의 개수도 무한하다. 이 사실에 대한
증명
은 기원전 3세기경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가 쓴 책인 에 기록돼 있을 정도로 역사가 매우 깊다. 1이 만드는 신기한 곱셈모두 1로 이루어진 자연수를 제곱하면, 1부터 n의 자리까지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실은 당연히 영향을 받지 않는다.그는 고조선이 건재했다는 사실이 천문학적으로
증명
된 이상 그 이전의 배달국 역시 실재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이런 확신을 바탕으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밝혔다. 이 때문인지 책에는 환단고기에 등장하는 용어들이 많이 나온다.판타지 아닌 판타지소설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수면이 현재보다는 높았다. 사해 밑바닥 퇴적층에서는 12만 년 전에 사해 물이 말랐음을
증명
하는 45m의 소금층과 자갈층이 발견됐다.연구진은 사해가 완전히 마르면서 남긴 소금의 양이 현재 사해를 증발시키고 생기는 소금의 양과 비슷할 것이라고 설명했다.특히 사해의 고도는 지난 2008년 해수면 ... ...
수학 - 발상의 전환 '거꾸로 풀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많은 학생들이
증명
문제를 어려워한다. 주어진 조건을 활용해 값을 구하는 문제는 익숙하지만 연역적 풀이가 필요한
증명
문제는 경험이 없어 낯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많이 푼다고 극복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체계적인 문제 해결법을 익히자.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