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싶어 바꾸려는 순간 제품명의 ‘최적화된(optimized)’이란 문구가 걸려 과연 이게 두 배의
차이
를 정당화할 수 있을까 알아보기로 했다. 참고로 ‘세포 노화에 대한 방어’에 최적화된 처방이라는 말이다. 성분 목록에 레스베라트롤 말고도 세 가지가 더 있었는데 자세히 보다가 정말 깜짝 놀랐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해야 덜 먹는다
2018.11.17
적지도 않은 중립적인 상황에서는 스트레스 이터와 그렇지 않은 사람의 섭취량에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기분이 나쁠 때 많이 먹는 스트레스 이터들은 기분이 좋을 때는 되려 ‘덜’ 먹는다는 것이다. 기분이 나쁠 때 많이 먹는 사람이 있는 반면 기분이 좋을 때 많이 먹는 사람이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반대쪽 영상이 시야에 들어오려면 70도 이내여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8K 영상과 4K 영상
차이
를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범위는 1.03m에서 1.31m 사이인 18㎝라는 말이다. 시력이 아주 좋으면서 TV를 아주 가까이에서 보는 소수를 제외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8K 영상은 콘텐츠 과잉스펙 아닐까. 사람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새 먹이사슬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최근 64%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했다. 쿠벨카 교수는 “아열대 지방에선 유의미한
차이
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고위도 극지방으로 갈수록 확률이 크게 올라가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극지방에 더 다양한 새들이 유입되면서 천적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쿠벨카 교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흥분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가바 수용체를 만드는 전사 유전자들의 RNA 염기서열
차이
를 확인했고, 그에 따라 가바 수용체의 개수나 활성정도 등이 달라진다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신경세포 종류를 새로 분류한 것이다. 타직 연구원은 “뇌 속 신경세포 연구 중 가장 포괄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한다고 주장한다. 앞의 오키나와와 브라질 일본인처럼 식생활에 따른 미량영양소 섭취의
차이
와 질병 위험성 및 수명의 관계를 보는 식이다. 에임스 교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미량영양소에 대한 자신의 주장이 널리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개인게놈시대와 피 한 방울로 체내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②신뢰성의 상징 아리안스페이스가 세대교체 감행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중인 차세대 발사체 아리안 6는 여러 면에서 기존 5보다 혁신적이다. 기술적으로 가장 큰
차이
점은 상단에 탑재할 새 엔진이다. ‘빈시(Vinci)엔진’이라고 이름 붙인 이 엔진은 재점화가 가능하다는 게 특징이다. 점화는 총 네 번까지 가능하며, 총 연소시간은 900초(15분)이 목표다. 섀즈 연구원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비롯해 지역 사투리로 다르게 쓰거나 발음하는 여러 단어들을 제시한 뒤 이런 사소한
차이
에 집착하지 말자고 얘기한다. 특히 아래 대목이 압권이다. ‘네이처’ 사설의 제목은 아래 구절에서 응용한 것 같다. 무슨 내용인데 이처럼 별난 제목을 붙였나 궁금해 읽어봤다. 1957년 발표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별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세로토닌과 글루타메이트 경로 관련 유전자가
차이
가 있었다. 여기에 관여하는 뉴런 역시 성격이나 학습, 기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의 생리학자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명저 ‘총, 균, 쇠’ 9장에서 ‘안나 카레니나 법칙’으로 가축화를 설명한다. 즉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보노보는 자기 길들이기가 꽤 진행된 종이라는 말이다. 둘은 의사소통 능력에서도
차이
를 보이는데 특히 가리키는 행동에 대한 이해력에서 두드러진다. 즉 침팬지는 우리가 손가락으로 어떤 대상을 가리켜도 이해하지 못하는 반면 보노보는 그 의미를 알아차린다. 수화와 상징을 통해 사람과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