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오른쪽은 3만여 년 전 현생인류가 남긴 사자 그림으로 사실적 묘사의 측면에서 현격한
차이
가 난다. 기억만으로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건 비범한 재능이다. - ‘사이언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림 솜씨가 꽤 좋은 사람이라도 기억만으로 이처럼 디테일이 살아 있는 사실적 묘사를 하기란 특정 ... ...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
2018.06.12
머금은 ‘방사화 흑연’에서 중성자를 빼내야 하는데, 일반 흑연과 방사화 흑연의 질량
차이
가 아주 작아 현재로서는 분리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더구나 흑연은 탄소 덩어리라 불이 잘 붙는다. 해체 작업 중 불꽃이라도 일어나면 곧바로 치명적인 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흑연이 타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100으로 측정한다(130-30). 생체시계 각성도 30을 고려하면 수면욕구는 70으로 문턱값과 꽤
차이
가 난다. 결국 자정을 넘겨서야 아데노신이 더 올라가고 카페인 농도는 약간 줄고 각성도가 더 낮아지면서 수면욕구가 문턱값에 이르러 잠이 든다. 하루 두 잔이면 카페인이 약간 문제를 일으킨다는 말이다.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내부에 핵연료봉이 차폐된 형태이고, 우리나라의 연구로는 개방된 수조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
가 있지만 ‘제염-절단-철거-복원’이라는 해체의 기본 과정은 동일하다. 서 부장은 “북한의 원자로는 노후화되고 제염 등 방사선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오염이 심각할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용량도 12%쯤 작게 진화한 게 아닌가 한다. 설사 뇌가 클수록 IQ가 높다고 하더라도 그
차이
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요즘 젊은 사람들에게 ‘IQ가 약간 더 높은 대두와 약간 낮은 소두 가운데 어떤 쪽을 원하냐?’라는 질문을 한다면 열에 아홉은 후자를 택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뇌용량이 ... ...
[사이언스 지식IN] 일상 속 ‘라돈’ 피해 줄이려면 첫째도, 둘째도 ‘환기’
2018.06.03
1%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하지만 입주 전의 아파트는 오전과 오후의 라돈 농도 분포에 큰
차이
가 없었습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활동을 하며 만들어내는 자연스러운 대류와 환기가 라돈 농도를 결정했다고 추정했습니다. Q. 그럼 실내에서는 어떻게 라돈을 피할 수 있나요? A. 공기청정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심리적 스트레스 수치가 높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 심리적 측면에서 두 그룹 사이에
차이
가 없었다. 미국 컬럼비아대 면역학자 아르민 알레디니 교수는 셀리악병이 아니면서도 글루텐에 민감하다고 주장하는 환자 80명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이들 대다수가 정말 글루텐에 대한 항체 수치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
2018.05.26
고통스러워하는 상황에서 즐거움을 느끼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
가 가장 크게 두드러졌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은 성범죄 예방을 위해 여성을 자신과 동등한 인간으로 여기고 여성의 고통에 대한 공감능력을 키우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GIB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구책임자-신진연구자 온도차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20
핵심 분야 외의 분야를 연구할 자유가 있다는 신진과학자 역시 70%대로 PI의 주장과
차이
를 보였다. 가장 시각차가 큰 주제는 실험 자료(raw data)를 PI가 점검하는지 여부였다. PI의 90%가 실험 자료를 본다고 답했지만, 신진과학자들 중 자신의 PI가 실험 자료를 본다고 답한 사람은 57%에 불과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히스타민이나 클로로퀴닌 같은 가려움을 유발하는 화합물을 발랐을 때는 긁는 횟수에
차이
가 없었다. 피부에는 물리적 자극을 담당하는 세포가 여럿 있다. 이 가운데 가벼운 자극에 반응해 가려움 신호에 관여하는 게 메르켈 세포(Merkel cell)로 진피와 맞닿아 있는 표피에 존재한다. 젊은 생쥐와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