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위기에 처한 소인국?!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변기를 향해 달려갔어요. 소인국 왕도 미소를 지으며 변기를 올려다 봤지요.“수세식 변기가 만들어지고 길거리의 대소변 폐기물이 사라진 것처럼, 소인국에 쌓인 대소변도 곧 사라질 거예요.”꿀록 탐정이 웃으며 말했습니다 ... ...
- 도전! 온도를 올려라, 초전도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결론이 나오든 간에 초전도체의 전이 온도는 점점 상온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다음 세대는 10년 안에 상온 상압 초전도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 ...
- [어수티콘 사전] 시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읽어야 해요. 시계의 시를 읽을 때는 순우리말인 하나, 둘, 셋, 을 써서 한 시, 두 시, 세 시, 와 같이 읽고, 분을 읽을 때는 한자인 일, 이, 삼, 을 써서 일 분, 이 분, 삼 분, 으로 읽기 때문이지요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치열한 사막라이프, 크레오소트 관목과 메뚜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경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대장 장이권 교수의 사막 생물 탐구생활, 세 번째 시간에는 사막에서 살아남기 위해 독을 품은 크레오소트 관목과 이 관목을 먹고 사는 메뚜기를 살펴볼게요. 크레오소트 관목이 독을 품은 이유는? 크레오소트 관목은 미국 서부를 여행하다 보면 창문 ... ...
- 위해 물품 찾았다멍! 탐지견 훈련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혹시 해외여행을 하다 공항에서 탐지견을 보게 된다면 반가워도 눈으로만 예뻐해 주세요. 업무 중인 탐지견을 부르거나 만지는 행동은 탐지견의 집중력을 흐리고, 불편함을 주기 때문이에요. 밀수범들은 위해 물품을 어떻게든 숨기려 하고, 저희는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니 많은 응원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자로 잰다면만큼이겠군. 피트(feet)는 영어로 ‘발’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억하기 쉬울 걸세. 딱 1000걸음, 마일(mile) 손과 발 크기만으로는 측정하기 어려운 게 있다면, 나 마일(mile)에게 맡겨! 난 1000걸음만큼의 길이거든. 건물의 높이나 길처럼 훨씬 긴 것도 측정할 수 있지. 1mile은 약 1.609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어린이의 미디어 참여는 권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안녕, 친구들~! 나 과학마녀 일리가 얼마 전 어린이보호구역을 지나는데, 여전히 차들이 쌩쌩 달리고 있는 게 아니겠어? 그래서 ZEM 파이브 친구들과 미디어에서 재 ... 만드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알려보면 어떨까요? 그레타 툰베리가 세상을 바꾼 것처럼요 ... ...
- [우주탐험대] 알파 센타우리 /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태양보다 1.519배 밝고, 두 번째 항성인 ‘톨리만’은 태양의 0.445배만큼 밝아요. 세 번째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비교적 어두운 편인데, 밝기가 태양의 0.001배에 불과하답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이에요. 프록시마는 ... ...
- [어수티콘 사전] 소수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소수점 오른쪽 첫 번째 자리는 ‘소수 첫째 자리’, 두 번째 자리는 ‘소수 둘째 자리’, 세 번째 자리는 ‘소수 셋째 자리’를 나타내요. 소수점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할 때마다 자릿값이 0.1배씩 작아지지요. 점 뒤에서 나란히 손을 잡은 숫자들은 256처럼 보이지만, 숫자들 앞에 ... ...
- [출동!슈퍼M] 3할 5푼 6리가 무슨 뜻이에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즉, 할은 0.1, 푼은 0.01, 리는 0.001이라는 비율을 나타내지요. 야구에서 타율을 소수점 아래 세 자리 수까지 나타내는 건 타자의 능력을 그만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예요. 사실 할푼리라는 말은 일본에서 유래한 표현이에요. 일제 강점기*에 사용했던 단어를 오늘날까지 쓰게 된 것이지요. 그래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