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수성/협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70%가 산지인 한반도에도 크고 작은 협곡이 많이 형성되어 있어요. 2020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록된 한탄강 주변에는 과거 한반도 중부 지방에서 활동했던 화산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한탄강은 강원도(북한) 평강군부터 경기도 연천군까지 흘러내려오는 강이에요. 경기도 포천시에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보글보글 '곱하고 나누면' 맛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난~, 라면이 세상에서 제일 좋아! 냠냠, 쩝쩝, 맛 좋은 라면~.”‘머나면 나라’에서 최고의 라면을 끓이는 방법을 배우고 온 자칭 ‘라면왕’ 보구리! 동물의 숲 주민에게 ‘진짜 맛있는 라면’을 소개하려고 해요. 하지만 동물의 숲엔 아직 라면을 모르는 동물이 많아, ... ...
- 계라니가 알려주는 쉬운 나눗셈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냄새를 맡은 동물들이 너 나 할 것 없이 모여들었지요. “저도요, 저도! 여기 한 그릇 주세요!” 25마리의 동물 손님들이 라면을 한 그릇씩 가져갔어요. 참, 라면의 감칠맛을 더해줄 비법 단무지도 잊어선 안 되겠죠! “그런데 계라니야, 나눗셈도 가로셈으로 나타낼 수 있어?” 계라니가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동물의 행동을 알면 동물의 언어를 아는 것! “어떤 상황인 것 같나요?”“화난 것 같아요. 아니면 하품하는 걸까요?” 우동수비대 대장 마승애 청주대학교 교수님이 발대식 강연을 ... 4기는 총 83팀이 참여합니다. 정형행동 없는 행복한 동물원을 위해 우동수비대와 함께해 주세요 ... ...
-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온라인 세미나를 했었고, 위튼 교수님이 참여하셨어요. 이후 교수님은 후안 말다세나 고등연구소 교수님과 상의한 뒤 논문의 내용이 더 중요한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프린스턴으로 불러주셨지요. 2022년 가을, 제가 고등연구소에 도착하자마자 교수님이 연구실로 저를 불러서 진행 중인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5g 이상의 광물만 있으면 양팔 저울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워서 적은 무게의 광물로 그 미세한 차이를 조정할 수 있으니까요. 경우의 수를 늘려라! 헥사곤 안정현 결승전에서 참가자 하석진 씨와 궤도 씨의 숫자 암기 전략이 다른데요. 중요한 건 연속한 3개의 숫자 쌍을 얼마나 많이 알고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여겨졌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것이다. doi: 10.1126/science.abj6987 T2T 컨소시엄 연구팀은 여러 3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해 반복 서열들, 특히 분석되지 못했던 염색체의 짧은 팔 부위와 동원체 영역을 분석했다. 수정하거나 새로 분석한 염기만 2억 3800만 개. 여기에는 약 1956개의 유전자가 들어있을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관찰결과,독도에서채집한점 등에모기 샘플은 둥근점등에모기에 비해 작은턱수염 세 번째 마디가 가늘었고, 감각오목도 훨씬 얕았다. 이 연구원은 또한, “결정적으로 곤충의 종 판별에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COI 유 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도 9% 차이를 보여 독도점등에모기 가 신종임을 확신할 수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직경 5cm의 구멍이 남았습니다. “앞으로 뭐 해먹고 살지?”란 고민도 함께 남았죠. 만 24세에 뇌질환 환자가 된 그는 고민 끝에 암 연구를 이어가겠다는 결심을 합니다. “교수님 저 연구 계속하겠습니다”란 그의 말에 지도교수는 “까짓거, 한번 해보죠”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업무량을 대변하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항공기 대수가 늘면 관제탑의 처리 용량이 금세 한계에 부딪힌다는 점만큼은 분명히 보여줍니다. 그런데 이젠 항공기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비행체도 우리의 일상으로 새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바로 에어택시와 같은 도심항공교통(UAM)인데요. 이들은 항공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