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관찰결과,독도에서채집한점 등에모기 샘플은 둥근점등에모기에 비해 작은턱수염 세 번째 마디가 가늘었고, 감각오목도 훨씬 얕았다. 이 연구원은 또한, “결정적으로 곤충의 종 판별에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COI 유 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도 9% 차이를 보여 독도점등에모기 가 신종임을 확신할 수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직경 5cm의 구멍이 남았습니다. “앞으로 뭐 해먹고 살지?”란 고민도 함께 남았죠. 만 24세에 뇌질환 환자가 된 그는 고민 끝에 암 연구를 이어가겠다는 결심을 합니다. “교수님 저 연구 계속하겠습니다”란 그의 말에 지도교수는 “까짓거, 한번 해보죠”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알고 말기엔 아까운 이야깃거리가 있다면 언제든,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공유해주세요!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인류 하나라면 괜히 쓸쓸한 기분이 드는 것처럼,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혼자만 알고 있는 것도 퍽 쓸쓸한 일 아니겠어요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런 시설은 늘 미국에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제가 사는 순천에서 가까운 곳에 세계 최강의 레이저가 있다니 뿌듯한 마음이 들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두죠. 마지막으로 소통 능력입니다.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이죠. 이 세 능력이 결합할 때 자율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은 자율적으로 기획, 운영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 방식과 기준 등이 궁금합니다.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선 물, 원소, 에너지라는 세 요소가 필요한데, 외행성계 위성에는 세 요소가 적절하게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어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주현 박사는 “지구가 태양에서 에너지를 얻듯, 목성의 위성은 목성과의 줄다리기로 ‘조석력’을 얻어 에너지를 갖는 경우가 ... ...
- [찰칵! 전시회] 맛있는 건 나누고, 달콤함은 곱한다! 과자 선물세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마카롱의 개수를 똑같이 맞추어 선물하고 싶어요. 마카롱 상자를 한 상자, 두 상자, 세 상자, 네 상자분홍색 마카롱 다섯 상자와 노란색 마카롱 네 상자를 가져왔더니 드디어 개수가 같아졌네요! 분홍색 마카롱 20개, 노란색 마카롱 20개! 말랑말랑 곰돌이 젤리! 이번에는 귀여운 곰돌이 젤리가 ... ...
- 경제 불안정, 민주주의 위기 같은 주제를 수학자가 생각보다 많이 연구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안녕하세요. ICMS 소장 김민형입니다. 우리 연구소는 학자들이 수학과 수학을 도구로 사용하는 수리과학 연구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요. 내년부터는 전반적인 수리과학 연구뿐만 아니 ... 매우 다양합니다. 오는 12월 11일까지 2차 신청을 받고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많이 참여해주세요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양자점을 이용해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는 등 차세대 디지털 바이오 헬스케어 기술 경쟁도 치열하다. 산학연의 선순환적인 연구 환경을 통해 양자점 기술이 다양한 응용 기술로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끊임없는 질문과 과학에 대한 헌신 노벨상을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것이다. 이 젓가락은 혀에 미세한 전기 충격을 가해(!) 짠맛을 느끼게 한다. 혀는 미세한 전기를 흘려보낼 때 특정 맛을 강하게 느낀다. 이를 ‘전기 미각’이라 부른다. 이 현상은 1752년, 취미로 전기 연구를 하던 스위스의 수학 교수 요한 게오르그 줄처가 처음 기록했을 정도로 오랫동안 알려져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