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d라이브러리
"
자손
"(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Editor’s Note] 공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만날 것을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싸우지 않고 공존했고, 공통의
자손
을 남겼다(좀 낭만적인 해석이긴 하다). 이들에게 공존의 유전자가 있었음을 새삼 감사하게 생각하며 또다른 공존을 준비한다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알 수 있다. “(자연 선택의 고전적) 이론은 동물이 손실을 감수하면서 자기의 직계
자손
이 아닌 동종의 다른 개체에게 이득을 주게끔 행동하는 경우를 설명할 수 없다.” 이런 이타적 행동을 잘 설명한다고 그동안 믿어져 온 집단 선택은 “수식 모델로 지지되지 않는다.” 집단 선택과 단칼에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같은 ‘단공류’ 동물은 알을 낳아요. 이처럼 거의 대부분의 동물이 알을 낳아서
자손
을 늘리지요. 어류는 알을 낳은 뒤 그 위에 수컷이 정자를 뿌려 수정하고, 파충류나 단공류 등 다른 동물들은 보통 짝짓기를 한 뒤 수정란을 낳는 답니다.하지만 조류는 수정되지 않는 ‘무정란’을 낳기도 해요. ... ...
Intro. 꽃 피는 수학적 생존전략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암술에 묻힌다. 식물은 벌과 나비뿐 아니라 갖가지 수단을 동원해 꽃가루를 퍼뜨려
자손
을 만든다. 아름다운 꽃과 각양각색으로 생긴 꽃가루는 바로 이런 치열한 생존 경쟁이 만든 결과물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꽃 피는 수학적 생존전략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생존전략 2 널리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상태의 변화 등을 재어 특정 물체와의 거리와 속도, 모양 등을 측정하는 장치.식물은
자손
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 이렇게 놀라운 전략을 선택했다. 온 세상을 알록달록 물들이는 꽃잎과, 향긋한 내음, 꿀을 빨기 위해 찾아오는 벌과 나비, 그리고 우리 코끝을 간질이는 꽃가루까지…. 어쩌면 땅속에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적었다. “인간의 진화 역사에서 많이 웃은 사람들에게는 복(福)이 왔다. 오래 살아서
자손
을 많이 남기는 복 말이다.”웃음이 가져온 복 가운데 하나는 바로 성 선택이다. 진화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여자들은 유머 감각이 뛰어난 남자를 배우자로 선호한다. 미국 뉴멕시코대 진화심리학자 제프리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품종이 있지요. 또 애완견은 예쁘고 귀여운 외모를 가진 품종이 오래 살아남고 또
자손
을 번식하기가 쉬웠어요. 그래서 사람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귀여운 외모를 갖도록 진화했다는 주장도 있답니다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무서운 적이었을 거예요. 어떤 종이든 살아남기 위해서는 포식자를 피하고 성장해서
자손
을 남겨야 해요. 그러므로 인류가 버티려면 위험한 공룡을 잘 알고 피해야 한답니다!티라노사우루스에게 인류는 맛난 식사?중생대 백악기부터는 조반류에 속하는 독특한 생김새의 초식공룡이 늘어났어요. ... ...
[News & Issue] 5억 년 전 알 품은 동물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다양해졌음을 의미한다. 카론 교수는 “왑티아가 포식자나 환경 위협으로부터
자손
을 지키기 위해 진화한 결과로 추정된다”며 “머리의 갑피가 알을 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5년 12월 17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고양이의 특성을 지워버리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중성화 수술을 피해
자손
을 남기는 개체들은 사람을 경계하고 사냥에 능숙한 녀석들이기 때문이다. 야생성과 사회화의 묘한 줄다리기에서, 야생성 쪽에 힘이 실릴까. 고양이와 인간의 ‘밀당’은 이제 막 시작된 건지도 모른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