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d라이브러리
"
자손
"(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공통점은 무엇일까?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이고 가지런한 모양이라는 것이다.생명체가
자손
을 번식하기 위해 꼭 필요한 유전물질 DNA(디옥시리보핵산)는 두 가닥의 사슬이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모양이다.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보면 유전 정보를 나타내는 염기코드를 감싸려는 듯이 보인다.그런데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올챙이가 숨을 장소가 많아요. 암컷 개구리는 본능적으로 추위와 포식자로부터
자손
을 보호할 수 있는 습지를 택한 거예요.그렇다면 경칩에 깨지 못하고 늦게 겨울잠에서 깬 개구리들은 어디에 산란할까요? 늦게 겨울잠에서 깨어난 암컷은 산란장소를 정하는 데 더 많은 어려움이 있어요. 알을 ... ...
[과학뉴스] 전쟁 때 태어난 남아는 건강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전쟁이나 기아 같이 어려운 일이 있는 시기에는 남아보다 여아가 더 많이 태어난다. 왜 그럴까. 생물학자들은 “여성은 자발적으로 연약한 남아를 유산시켜 더 건강한 아이를 낳 ... 정상인 해에 태어난 남아보다 유아기 생존률이 8% 높았다. 또한 성인이 됐을 때
자손
을 4% 더 많이 남겼다 ... ...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한답니다.그러나 새로운 암컷이 오면 수컷의 양육행동은 분산되고, 양쪽 암컷들의
자손
끼리 경쟁을 하게 돼요. 그러므로 수컷이 새로운 암컷을 유인하는 것은 암컷에게 결코 유익한 일이 아니지요. 그래서 수컷이 페로몬을 발산하면 암컷은 수컷에게 다가가 물어뜯고 내동댕이쳐요. 수컷이 다른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영원히 잃게 되지요. 뿐만 아니라 짝짓기 후 확실히 수정시키지 못하면 유전적으로 남의
자손
을 돌보게 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짝 지키기는 많은 동물에게 잘 발달되어 있답니다. 금슬 좋은 부부를 상징하는 원앙은 번식기 때 꼭 붙어다닌다. 이는 암컷이 다른 수컷을 만나지 않도록 경계하는 짝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친구들은 혹시 공작새를 본 적이 있나요? 공작은 정말 멋진 새예요. 새 중에서 상당히 크고 깃털은 화려하기 그지없어요. 특히 짝 ... 선택할지를 결정하지요. 여러분도 좋아하는 동물을 잘 관찰해 보세요. 암컷과 수컷 중 누가
자손
을 번식하기 위해 더 많이 노력하나요 ... ...
항생제 이겨내는 세균 이기는 항생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허물어 버리면 세균이 터져 버리거든요. 또 다른 항생제들은 세균이 세포 안에서
자손
을 번식하는 일을 방해해 요. 세균이 DNA를 복제하지 못하도록 효소를 막거나, 단백질을 만들 때 세균이 갖고 있는 유전정보와 다르게 만들어지도록 방해하지요. 결국 수명이 짧아진 세균은 세포 안에서 모두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중에서도 살 수 있지만, 동물이나 식물을 감염시키기도 한다.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자손
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서다.취재파일 3 에볼라바이러스를 옮긴 주범은 과일박쥐!에볼라바이러스는 도대체 어디에서 왔을까? 과학자들은 중앙아프리카에 사는 동물 3만 마리를 관찰한 결과, ‘과일박쥐’만이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이 유전자는 바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였어. 이 유전자가 서로 다를수록
자손
은 더 다양한 질병에 강한 유전자를 갖게 되는 거야. 생물학자들은 서로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끼리 아기를 낳는 것을 막고, 다양한 면역체계를 가진 후손을 낳을 수 있게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한단다.냄새로 ...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별빛과 태양빛에서 오지 않은 게 없다. 우리는 초신성의 후예일 뿐 아니라 별과 태양의
자손
이기도 하다. 최근 인류는 대담한 도전을 하고 있다. 별빛과 태양빛을 지상에서 인공적으로 만들려는 ‘핵융합’이다. 핵융합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만들고자 한 인류 꿈의 완결판이다. 이 꿈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