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근대"(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2019.04.25
- 있지는 않았지만, 17세기 근대과학이 형성되는 유럽에서도, 이후 화학과 생물학이 근대과학의 지위를 얻게 되는 18세기와 19세기에도, 과학자들은 언제나 협업을 중시했고, 네트워크 속에서만 일했다. 17세기 로버트 보일은 '보이지 않는 대학 (Invisible College)'을 만들어 과학자들의 네트워크를 ... ...
- 동해서 3일 만에 지진 발생, 한반도-동해 사이 단층 원인 가능성2019.04.22
- 약 54km 해역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한지 3일 만이다. 규모 4.3 지진은 한반도에서 근대적인 지진 관측이 실시된 이후 가장 강력한 지진이었던 경주지진(규모 5.8)의 약 178분의 1 크기고, 규모 3.8은 약 1000분의 1 크기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4분 만인 이날 오전 5시 49분 올린 지진정보를 통해 “경북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조현병, 지척에 치료법이 있다2019.04.20
- 않습니다. 가까운 병원에 가면 분명 치료법이 있습니다. 인류는 거의 기적과도 같은 근대 의학의 발전, 그리고 행운의 여신의 도움까지 힘입어 조현병 치료약을 만들어냈습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아주 근사한 약입니다. 게다가 각종 정신치료, 재활치료, 인지치료, 사회복귀요법 등도 점점 ... ...
- '국책연구과제''포항제철' 산파 윤여경 전 KIST 부소장 타계동아사이언스 l2019.03.10
- 모든 산업육성정책수립에 KIST 경제분석실장 자격으로 참석한 윤 전 부소장은 기계공업의 근대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조선소건립 필요성을 강조해 현대조선(현 현대중공업)의 출범을 이끌기도 했다. 윤 전 부소장은 모두가 가능하냐고 물었던 김훈철 박사의 20만t 생산 규모 조선소건립 ...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02.28
- 관한 논문을 발표한 아마추어 식물학자 조민제 씨(법무법인 시공 소속 변호사)는 “근대 분류체계가 도입되기 전에는 주로 기능에 따라 식물 이름을 지었기 때문에, 여러 종이 하나의 이름으로 뭉뚱그려진 경우가 많았다”며 “당시 조선인이 실제로 부르는 이름을 일일이 채록하는 것을 우선으로 ...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2019.02.27
- 근현대과학사와 남북 과학기술 비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황우석 신화와 대한민국 과학》《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가 있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3월호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http://dl.dongascience.com ... ...
- 주기율표 곳곳을 채운 화학의 '히든 피겨스'동아사이언스 l2019.01.29
- 드미트리 멘델레예프(1834~1907년)는 원자 량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원자들을 나열해 최초의 근대적 인 주기율표를 만들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올해는 1869년 러시아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를 제정한 지 150주년이 되는 해다. 주기율표는 화학 원소의 성질을 구분하고 분류함으로써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공격 받는 의사들 2019.01.02
- 의술을 가진 대표적인 전문가로 존경받았습니다. 전문직의 꽃으로 불렸습니다. 근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의료는 모든 사람이 당연히 누려야 하는 권리로 인정받게 됩니다. 서구 사회의 의료는 크게 두 방향으로 진행되는데, 첫째는 최신 과학의 도입을 통한 증거 기반의 의학이고 둘째는 주치의 ... ...
- 박상열 표준연 원장, 국제도량형위원회 위원 선임동아사이언스 l2018.11.20
- 달라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도량형 통일을 논의한 '미터협약' 이후 143년에 이르는 근대 단위 표준화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박 원장은 “기본단위 4개가 재정의되는 역사적인 시점에 CIPM 위원에 선출돼 매우 뜻깊다”며 “대한민국을 대표해 측정과학의 발전과 한국의 위상 제고에 기여할 수 ...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2018.11.18
- 달라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도량형 통일을 논의한 '미터협약' 이후 143년에 이르는 근대 단위 표준화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1. 더는 기준이 바뀌지 않는 kg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키블저울’을 개발하고 있다. 질량단위인 ‘킬로그램(kg)’을 새롭게 정의하기 위해 과학계는 키블저울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