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대
요즈음
최근
근간
최신
요사이
현시대
뉴스
"
근대
"(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공격 받는 의사들
2019.01.02
의술을 가진 대표적인 전문가로 존경받았습니다. 전문직의 꽃으로 불렸습니다.
근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의료는 모든 사람이 당연히 누려야 하는 권리로 인정받게 됩니다. 서구 사회의 의료는 크게 두 방향으로 진행되는데, 첫째는 최신 과학의 도입을 통한 증거 기반의 의학이고 둘째는 주치의 ... ...
박상열 표준연 원장, 국제도량형위원회 위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달라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도량형 통일을 논의한 '미터협약' 이후 143년에 이르는
근대
단위 표준화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박 원장은 “기본단위 4개가 재정의되는 역사적인 시점에 CIPM 위원에 선출돼 매우 뜻깊다”며 “대한민국을 대표해 측정과학의 발전과 한국의 위상 제고에 기여할 수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달라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도량형 통일을 논의한 '미터협약' 이후 143년에 이르는
근대
단위 표준화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1. 더는 기준이 바뀌지 않는 kg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키블저울’을 개발하고 있다. 질량단위인 ‘킬로그램(kg)’을 새롭게 정의하기 위해 과학계는 키블저울을 ... ...
[기본단위 재정의] 의약업계 손익 가르는 ‘㎏’ 정의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게티이미지뱅크 일상에서 몸무게를 비롯해 감자, 쌀 등의 양을 나타낼 때 쓰는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이 130년 만에 새롭게 정의된 ... ‘몰(mol)’에 대한 기준도 새롭게 정의됐다. 한꺼번에 4개의 기본단위가 재정의 된 것은
근대
단위 표준화가 이뤄진 143년 역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 ...
53개국이 찬성했다 “도량형 바꾸자”
2018.11.16
달라지는 것은 전세계적인 도량형 통일을 논의한 '미터협약' 이후 143년에 이르는
근대
단위 표준화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4개 단위를 다시 정의하는 이유는 기존의 정의가 불안정하거나 시간에 따라 변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단위는 측정의 기본으로, 시간이나 공간에 따라 달라지면 안 ... ...
생활 속 4개 측정 기본단위 기준, 143년 만에 확 바뀐다
2018.11.16
내년 5월 20일부터다. 7개 기본단위 중 4개가 한꺼번에 달라지는 것은 143년에 이르는
근대
단위 표준화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이호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간표준센터 책임연구원은 “과학계는 이날을 위해 25년 동안 단위 기준 변경의 과학적 타당성과 혹시 모를 여파를 주의 깊게 연구해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통계 출처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 여성은
근대
과학이 만들어지던 시점인 16~17세기부터 과학계에서 밀려나기 시작했어요. 남성 과학자들은 여성이 권위 있는 과학자의 모습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여성이 학회에 참가하는 것을 ... ...
[과학도시를 만나다]③ 연구의 자유가 경쟁력…수학의 요람 파리로 모이는 과학자들
수학동아
l
2018.10.28
철학자들이 철학과 수학을 바탕으로 학문을 재건하며 서양
근대
철학의 문을 열었다.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유명한 명언과 함께 생각을 요구하는 수학만이 오로지 명증성을 갖춘 학문이라 주장했다. 그의 업적 중에는 수학사에 빛나는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1관.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이다
2018.09.21
‘생물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사회적 조건이나 상황’을 말한다.
근대
이전에 오늘날의 환경과 동일한 뜻으로 사용된 단어는 무엇일까. ‘산수’ 또는 ‘산천’ 등의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였지만, 실제로는 ‘풍수’도 환경과 같은 뜻으로 흔히 쓰였다. 옛 어른들이 어떤 마을을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4관.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
2018.09.21
효율적으로 지배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전
근대
도 그런 정책을 추진했다. 조선은 초기부터 도량형 통일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세종 시대에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세종은 박연 등에게 새롭게 ‘황종척(黃鍾尺)’을 만들어 음악의 음률(音律)을 정비하게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